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자료 사진=AP 연합뉴스)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자료 사진=AP 연합뉴스)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미국 국무부가 북한 비핵화의 첫 번째 단계는 “북한이 대화와 외교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것”이라고 밝혔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18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는 외교와 직접적인 대화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최선의 수단으로 믿는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아울러 “우리는 선도적 조치를 여러 번 취했다”며 “우리는 북한과 직접적인 외교에 관여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하지만 우리는 긍정적인 답변을 듣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북한의 비핵화는 ‘점진적 과정’을 거쳐 달성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우리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가 하루 아침에 일어날 것으로도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것은 양측이 공동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되는 점진적 조치를 취하는 위치에 있게 될 점진적인 과정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이 한반도의 비핵화에 지지 입장을 표명했는가”라고 자문한 뒤 “(그렇게 한다면)환영할만한 첫 번째 단계가 될 것”이라고 자답했다.

이와 관련 그는 “북한이 미국과 역내 미국의 조약 동맹국의 제안을 받아들이겠는가”라고 반문하며 “우리는 그 지점에서부터 점진적 단계가 어떨 것인지를 놓고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시 말하지만 우리가 선호하는 접근법은 대화와 외교”라며 “우리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진전시키 위한 수단으로 북한과 직접적인 대화에 참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북한이 그렇게 하려는 의지가 없고 매우 불안정한 환경을 조성하는 등 북한의 도발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우리는 일본, 한국과 긴밀히 조율하고 그들의 안보와 우리의 공동 억지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다시 말하지만 응답을 해야 할 의무가 있는 건 북한”이라며 “우리는 북한이 미국과 미국의 조약 동맹국들로부터 들은 제안에 긍정적으로 응답하기를 희망한다”고 대화 의지를 거듭 표명했다.

그는 또 유엔의 식량 등 제재 면제와 관련 “우리의 제재 체제라는 넓은 관점에서 말하자면 미국의 제재 체제와 국제사회 제재 체제는 식량을 포함한 인도적 지원에 (제재) 면제를 한다”는 원칙을 거듭 확인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비핵화 합의 전이라도 유엔 대북 제재 품목에 해당하는 북한의 광물과 식량, 의약품 등을 교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한국 정부가 비핵화 협상 초기부터 대북 제재 면제를 논의할 수 있다고 밝힌 데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공동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단계가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그리고 최근 유엔 안보리 관계자가 ‘현 제재 체재 내에선 윤석열 정부의 한반도 자원식량교환프로그램은 제재 위반’이라고 밝힌 데 대해서는 “유엔 관계자가 무엇을 언급한 것인지 정확히 알지 못하는 만큼 단정적으로 말할 순 없다”고 즉답을 피했다.

그는 전날인 17일 ‘윤석열 대통령이 북한의 확고한 비핵화 의지에 따라 대북 지원이 가능하다고 말한 상황에서 미국 정부가 계속 제재를 유지할 것이냐’는 질문에 “북한이 근본적인 행동과 접근법에 변화를 줄 때까지, 그리고 그렇게 하지 않는 한 그러한 제재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었다.

그는 이와 관련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확신이 국무부가 의미하는 근본적인 변화로 해석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북한으로부터) 그런 단계를 전혀 보지 못한 만큼 가정적인 단계에 대해 언급하고 싶지 않다”고 말을 아꼈다.

한편 그는 오는 22일부터 ‘을지 프리덤 실드’(UFS, 을지 자유의 방패) 한미 연합군사연습에 대해 “이러한 훈련들은 본질적으로 순전히 방어적”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이번 UFS가 ‘확장억제에 필수적인가’라는 질문에 대해선 “한국, 전 세계 다른 동맹, 파트너와 모든 훈련과 마찬가지로 북한의 잠재적 위협이나 도발로부터 우리의 공동 이익과 공유된 이익을 방어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려는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