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중국 관영 매체가 미국이 대만에 대한 총 11억 달러(약 1조5000억여원) 규모의 무기 판매를 추진하는 것과 관련해 대만해협에 대한 일방적인 현상 변경 시도라며 반발을 이어갔다.
5일 중국 관영 환구시보(環球時報) 영문판 글로벌타임스는 미국 언론 보도를 인용해 미 바이든 행정부가 미 의회에 요청한 11억 달러 규모의 무기 판매안이 승인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며 이같은 반응을 보였다.
앞서 미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DSCA)는 지난 2일(현지시간) 국무부가 대만에 무기 수출하는 방안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미국이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대만에 대한 무기 판매 추진은 이번이 6번째이며, 규모로는 최대다.
미 국무부가 이번에 대만 판매를 승인한 무기는 AGM-84L 하푼 블록Ⅱ 지대함 미사일 60기, AIM-9X 블록Ⅱ 사이드와인더 공대공 미사일 100기를 비롯해 감시레이더 등이 포함됐다.
그 중 하푼 미사일은 중국군 함대의 대만 상륙을 저지할 수 있는 비대칭 핵심 무기로 꼽힌다.
로라 로젠버거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중국 담당 선임국장은 이와 관련 최근 성명에서 “중국군이 대만해협 현상 변경을 시도하는 등 대만에 대한 압력을 강화함에 따라 미국은 대만에 자위 능력 유지를 위해 필요한 것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혀 중국을 겨냥한 무기 판매임을 분명히 했다.
이 매체는 류펑위(劉鵬宇) 주미 중국대사 대변인이 트위터를 통해 밝힌 “대만은 양보할 수 없는 중국 영토의 일부분”이라며 “미중 관계 및 대만해협 평화와 안정을 심각한 정도로 위태롭게 하는 무기 판매를 단호하게 반대한다”는 주장을 인용했다.
류 대변인이 “미국은 무기 판매를 통해 중국 내정에 간섭하고 주권과 안보 이익을 훼손한다”며 “미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과 3개 중·미 연합공보를 준수하고 대만에 대한 무기 판매를 즉시 철회할 것을 요구한다”는 발언도 전했다.
이 매체는 이어 여러 전문가들의 분석을 통해 미국이 대만해협의 현상을 바꾸려 시도하고 미중 관계 갈등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논조를 폈다.
중국 군사전문가로 꼽히는 쑹중핑(宋忠平)은 “최근 미국의 무기 판매는 중국을 자극하는 동시에 무기 판매상들이 더 많은 이익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대만 집권당인 민진당의 “어리석음을 반영한다”고 주장했다.
이 매체는 이어 일부 전문가 분석을 통해 이번 미국이 대만에 판매할 무기로는 중국과 전력 격차를 줄이지 못할 것이라는 점을 부각시켰다.
신창(信强) 중국 푸단대(復旦大) 교수는 “현대 전쟁은 조직적인 대결”이라며 “대만이 이런 무기를 구입함으로써 얼마나 많은 역할을 할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뤼샹(呂祥) 중국 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지난달 2일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으로 “대만 해협의 현상이 변화했다”며 “미국의 대만에 대한 무기 판매를 늘려 이른바 ‘호저 전략’이 향후 몇 년 간 바이든 행정부의 일반적인 흐름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여기서 말하는 호저는 설치목과 동물로, 뾰족한 가시가 온 몸을 덮고 있어 사자 등 맹수들도 함부로 건드리지 못한다.
뤼 연구원은 “이런 전술은 전반적인 안보에 있어 중국에 위협이 된다”며 “중국 인민해방군은 방어 능력을 강화해 대만 근처에서 훈련을 실시하거나 경계태세를 유지하기 위한 비행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뤼 연구원은 “이는 대만을 둘러싼 치열한 투쟁을 이끌 것”이라며 “중국은 통일을 위한 시간표를 발표하지 않았지만, 그것은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