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문재인 전 대통령은 재임 시절 남북 합의에 대해 “정부가 바뀌어도 마땅히 존중하고 이행해야 할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문 전 대통령이 퇴임 후 처음으로 내놓은 공식 메시지로,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뉴욕 타임스(NYT)와 인터뷰에서 문 전 대통령의 대북 정책에 대해 “북한에만 집착했다”고 비판한 직후여서 주목을 끌고 있다.
문 전 대통령은 18일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남북간 ‘9·19 군사합의’ 서면 축사에서 “7·4 공동성명과 남북기본합의서, 6·15 선언, 10·4 선언, 판문점선언, 평양공동선언 등은 모두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역지사지하며 허심탄회한 대화와 협상을 통해 만들어낸 역사적 합의”라며 이같이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9·19 군사합의’에 대해 “반목과 대립, 적대의 역사를 끝내겠다는 의지를 담아 전쟁 없는 한반도의 시작을 만방에 알렸다”며 “남북군사합의서를 부속합의서로 채택해 군사적 위험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실천적 조치를 합의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반도를 핵무기와 핵 위협이 없는 평화의 터전으로 만들겠다는 뜻을 대외적으로 천명한 것은 매우 중대한 의미를 갖는다”며 “남과 북이 처음으로 비핵화 방안에 합의하며 비핵화로 가는 실질적 로드맵을 제시했다”고 자평했다.
문 전 대통령은 아울러 “대화가 없으면 평화도 없다. 모든 대화의 출발점은 신뢰”라며 “신뢰는 남북 간에 합의한 약속을 지키는 데서부터 시작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전 대통령은 앞서 인터뷰에서 문 전 대통령의 외교·대북정책에 대해 “교실에서 한 친구(북한)에게만 사로잡힌 학생 같아 보였다”며 남북 정상회담도 ‘정치적인 쇼’라고 평가하고 문 정부의 외교·대북정책을 크게 수정할 뜻을 내비쳤다.
문 전 대통령은 이어 북한을 향해서도 “북한 역시 거듭된 합의를 저버려서는 안 된다”며 “합의 준수를 위해 남북이 함께 노력해 나갈 때 신뢰가 쌓일 것이며 한 걸음 더 나아간 대화의 길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촉구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와 관련 “아쉽게도 하노이 회담 결렬 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는 교착됐고, 남북과 북미 간 대화에서 더 이상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며 “한반도에 평화를 제도화하는 것, 지속가능한 평화를 정착시키는 게 얼마나 어려운 과제인지 절감한 시간이었다”고 회고했다.
문 전 대통령은 또 “일촉즉발의 전쟁 위기 속에서도 우리의 주도적 역할을 통해 평창올림픽을 평화올림픽으로 만들어내고,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을 성사시키며 평화의 길을 개척했던 경험을 거울삼아야 한다”며 “여전히 (남북 간) 불신의 벽이 높고, 외교·안보 상황이 녹록지 않은 게 지금의 현실이지만 우리가 상황을 비관하지 않고 주도적 입장에서 극복하고 헤쳐나갈 때 비로소 평화의 길로 나아갈 수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