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오른쪽)이 17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가 주최한 대담에서 후버연구소장을 맡고 있는 콘돌리자 라이스 전 국무장관과 대화하고 있다.(사진=AP 연합뉴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오른쪽)이 17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가 주최한 대담에서 후버연구소장을 맡고 있는 콘돌리자 라이스 전 국무장관과 대화하고 있다.(사진=AP 연합뉴스)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17일(현지시간) 북한이 최근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등 잇단 도발을 이어가고 있는 데 대해 한미일 연합훈련에 대응하는 한편 “북한 지도부는 무시당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며 일종의 ‘관심 끌기’로 분석했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미국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가 주최한 대담 행사에 참석해 북한이 최근 탄도미사일 등을 통해 도발을 고조시키는 이유 중 하나로 “세계가 다른 곳에 집중할 때 ‘우리가 아직 여기 있다’, ‘우리는 여전히 문제이고, 당신은 이 문제를 상대해야 한다’는 것을 상기시키려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와 관련 북한 문제는 미국의 역대 모든 행정부에 도전이었고 각각 어떤 식으로든 관여했지만 지난 수년간 분명히 개선되지 않은 것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나 대북 대응과 관련 “지난 몇 달이나 1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다른 일이 일어나고 있다”며 “역내 동맹·파트너들과 협력을 크게 강화했다”는 점을 꼽았다.

그러면서 북한의 도발과 위협에 대해 “한국, 일본과 양자 차원에서 우리가 오랜 기간 (대응)해 왔다”며 “하지만 지난 몇 년간 중단했던 군사훈련을 재개했다”고 최근 동해에서 실시한 한미일 대잠수함훈련을 사례로 들었다.

그는 “우리는 북한의 어떠한 공격도 방어하고 저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군사 훈련을 재개했다”며 “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한국 간에 최근 몇 년 동안 하지 않았던 방식으로 이를 진행하고 있다”고 한미일 연합군사훈련을 높이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는 한국과 일본을 더욱 가깝게 하는 것을 포함해 많은 이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김정은이 이를 봤고 달가워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북한의 최근 도발 고조 행위는 이런 연합훈련에 대한 반응이라는 언급도 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유엔을 비롯해 방어와 억지력을 더 강화하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조치를 취했다”면서도 “북한은 현재 진행 중인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이날 후버연구소 소장 자격으로 대담을 진행한 콘돌리자 라이스 전 국무장관의 지적을 거론하며 북한 문제에 대해 “더 광범위한 확산 우려에 반영된다”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 “결국 비확산을 계속 진전시키고, 무기 확산을 방지하며, 우리 스스로 군비를 통제해 비확산 조약의 책임 있는 행위자가 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고 강력한 것 중 하나는 여러 나라가 그동안 갖지 못했던 핵무기를 획득하는 것이 더 낫다고 결론짓는 세계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 이유로 “국제 규범들을 강화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며 “이 규범들은 우리가 서명했고, 우리의 관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한편 중국 문제와 관련 “우리는 최근 몇 년 동안 시진핑의 지도력 아래 매우 다른 중국이 부상하는 것을 봐 왔다”며 “국내에서는 더욱 억압적이며 대외적으로는 더 공격적인 중국은 많은 경우 우리의 가치뿐 아니라 이익에 도전을 제기한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미중 관계에 대해 “우리가 가진 가장 중대하고, 도전적이며, 복잡한 관계 중 하나”라면서도 “동시에 협력적 측면이 남아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그러면서 미국과 중국이 기후변화, 국제보건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협력하지 않으면 이를 해결하기 훨씬 더 어려워진다”고 협력을 기대했다.

중국이 민감하게 여기는 대만 문제와 관련해선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접근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며 “이전보다 훨씬 빠른 시간표를 갖고 통일을 추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중국의 대만 통일과 관련 “(중국은) 평화적 수단이 작동하지 않으면 강압적 수단을 동원할 수 있고 강압적 수단이 안 되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강제적 수단도 쓸 수 있다”며 “이는 현 상태를 파괴하고 엄청난 긴장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경계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