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서기 겸 국무위원장이 노동당 중앙간부학교를 방문해 기념강의를 했다고 조선중앙TV가 지난 18일 보도했다. (사진=조선중앙TV 화면 갈무리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서기 겸 국무위원장이 노동당 중앙간부학교를 방문해 기념강의를 했다고 조선중앙TV가 지난 18일 보도했다. (사진=조선중앙TV 화면 갈무리 연합뉴스)

[국방신문=한상현 전문기자] 북한이 18일 밤부터 19일 낮까지 세 차례에 걸쳐 동‧서해로 350여발의 포병 사격을 가하는 도발을 이어갔다.

또 북한은 남한의 ‘군사적 도발’에 대한 대응이라며 도발에 대한 책임을 다시 남한 탓으로 돌렸다.

19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낮 12시30분부터 황해남도 연안군 일대서 100여발에 달하는 포병 사격을 했다.

합참은 “이를 관측해 즉각 조치했다”며 북한에 “계속된 도발을 엄중 경고했다”고 밝혔다.

북한은 이에 앞서 18일 밤 10시쯤부터 황해도 장산곶 일대에서 서해상으로 100여 발을, 밤 11시쯤부터는 강원도 장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150여 발의 포병 사격을 각각 실시했다.

합참은 동·서해상 낙탄 지점은 세 차례 모두 북방한계선(NLL) 이북 해상완충구역 내라고 밝히고 또다시 ‘9·19 남북 군사합의’를 위반했다며 ‘즉각 중단’을 강력 촉구했다.  

조선중앙통신 19일 보도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북한군 총참모부 대변인 명의의 발표문을 통해 “지난 10월 13일과 14일에 이어 18일에도 적들은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우리를 자극하는 군사적 도발을 또 다시 감행하였다”며 “중대한 경고를 보내기 위해 18일 밤 아군 동부 및 서부전선 부대들이 강력한 군사적 대응 조치로서 동, 서해상으로 위협 경고 사격을 진행하도록 하였다”고 주장했다.

이어 “적들은 18일 (오전)9시 55분부터 17시 22분까지 남강원도 철원군 전연 일대에서 수십발의 방사포탄을 발사하였다”며 “적들의 북침전쟁연습인 ‘호국22’가 광란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시기에 감행된 이번 도발 책동을 특별히 엄중시한다”고 우리 군이 지난 17일부터 시작한 ‘호국훈련’을 직접 겨냥했다.

북한은 또 “전연 일대에서 연이어 감행되는 적들의 군사적 도발행위로 인하여 조선반도의 정세는 계속 악화되고 있다”며 “적들은 전연 일대의 군사적 긴장을 유발시키는 무모하고 자극적인 도발행동을 즉시 중단해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북한은 중국이 공산당 제20차 당대회를 시작한 지난 16일부터 미사일 시험발사를 비롯한 도발을 잠시 중단했으나, 이번처럼 저강도 국지 도발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