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오동준 기자] 우리 군이 주한미군과 함께 다양한 전투지원 부대를 동원한 도하 훈련을 펼쳤다.
육군 제7기동군단은 19일 경기도 여주시 남한강 일대에서 작전대비태세 유지 및 연합·합동 작전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한미연합 제병협동 도하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올해 호국훈련의 일환으로 실시된 이번 훈련은 기계화부대 쌍방훈련 중 공격부대가 하천 장애물 극복을 위해 한미 공병부대, 기동부대, 화력 및 작전지속지원부대 등을 통합 운용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7군단은 제8·11기동사단을 중심으로 기갑·포병·공병·화생방·방공·항공 등 제병과 부대를 통합 운용하고, 한미연합사단 예하 제11공병대대와 연합전투단을 편성해 전장상황을 상정한 훈련을 했다.
훈련엔 한미 장병 1000여명, K2 전차를 비롯한 궤도장비 50여대, 리본부교(RBS)·개량형 전술부교(IRB) 등 한미 공병장비 114대, 아파치·코브라 등 공격헬기, 공군 KF-16 전투기 등이 동원됐다.
훈련은 적 공격으로 남한강 일대 주요 교량이 파괴된 상황을 가정해 시작됐다.
통제본부의 공격명령이 하달되자 포병·KF-16의 사격, 아파치·코브라의 화력지원과 공중경계, 화생방 연막소대의 연막차장(은폐를 위한 연막)이 이어졌다.
화력지원 후 적의 위협을 제거하고 11사단의 K21 보병전투장갑차들이 강습도하를 시도, 이어 한미 공병부대의 문교(門橋, 인원·장비를 도하시키기 위해 부유물 상판을 설치하고 동력장치를 설비한 수상운반체)가 K2 전차와 K200 장갑차 등 궤도장비 도하를 지원했다.
다음으로 교량가설단정(BEB)들이 강 위를 오가며 부속품을 옮기고 한미 공병부대 장병들이 이를 조립하자 길이 300m의 연합부교가 구축됐다.
부교가 완성되자 전차·장갑차를 선두로 대규모 병력이 강을 건넜다.
이날 훈련은 모든 장비·병력이 강을 건너 목표지점을 확보할 때까지 약 6시간 동안 진행됐다.
훈련에 참가한 11사단 이용경 중령은 “하천이 많은 한반도 지형 특성상 이를 극복하는 도하작전 능력 배양은 전시 작전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요소”라며 “이번 훈련을 통해 기동사단의 통합된 도하작전 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미연합사단의 션 카스프리신 대위도 “실질적인 연합 공병 작전으로 한미동맹의 강한 결속력을 확인했다”며 “한미 간 다양한 교류와 협력이 연합작전 수행능력 강화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