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송국진 기자] 박진 외교부 장관은 24일 3연임에 성공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자대회(당대회)에서 대만 무력 침공 가능성을 공언한 것과 관련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서 “대만해역에서 만약 위기가 발생하면 북한이 도발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아울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대만 무력통일 추진’ 시사에 대한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대만해협 평화와 안정은 한반도 평화, 안정에 대단히 중요하다”며 “한미동맹을 굳건히 유지하며, 한미 공조를 지속해 나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시 주석 3연임이 결정된 중국 당대회 결과에 대해 “시 주석의 권력기반이 강화된 것으로 평가된다”며 “새로운 지도부 하에서 중국은 대체로 기존 정책노선을 유지하면서 대내외 정세환경을 감안해 구체 정책을 이행해 나갈 걸로 본다”고 전망했다.
그는 이와 관련 ‘윤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축전 보낼 준비를 하고 있나’라는 태 의원 질의에 “축전 문제를 포함해 관련 사항들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태 의원은 “대만해역에서 군사적 충돌이 벌어지면 미국이 우리 의지와 상관 없이 주한미군을 투입하느냐가 대단히 중요한 문제”라며 “윤석열 정부가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문제를 향후 (한미 관련)회담에서 논의할 계획이 있느냐”고 묻기도 했다.
박 장관은 이어 일제 강제징용 배상 문제와 관련 “강제징용 협상에서 일본 정부의 태도 변화가 있나”라는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일본이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한일간 지속적으로 이 문제 해결 방안에 대해 합리적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민관협의체 4번 하면서 방안이 제기됐다”며 “피해자 의견을 존중하면서 한일관계 미래지향적으로 갈 수 있는 방향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계속 일본의 성의 있는 호응을 촉구 중”이라며 “일본이 대화에 대한, 문제 해결에 대한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거듭 언급했다.
그는 이 의원이 ‘법률적으로 사법부 판결을 인정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대위변제 형식밖에 없다’고 지적한 데 대해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고, 피해자들도 전부 동의할 수 있게 해결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