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미래전 패러다임 전환에 대비해 차세대 게임체인저의 조기 확보가 필요하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다.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방혁신 4.0’ 3차 세미나에서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융합·개방형 국방 연구개발 체계 발전'이라는 주제의 발제문에서 비대칭성 강화, 초연결 기반체계 구축 등과 함께 이 같은 필요성을 꼽았다.
이날 세미나는 국방부가 국회 국방위원회와 공동으로 국방 연구개발(R&D) 체계 발전 및 전력증강 절차 개선 방안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하 선임연구위원은 아울러 국방 획득체계 개선과 연구개발 체계 혁신을 위한 법령 개정, 신속 획득 전담 기관 신설, 경쟁형 연구개발 과제 확대 등을 그 방안으로 제시했다.
박준수 한국국방연구원 획득방산연구실장은 '전력증강 프로세스 재정립' 주제 발표에서 국방부 장관 직속 국방과학기술전략위원회 설치, 국방혁신 플랫폼 구축, 국방실험체계 통합 개발 등을 제안했다.
국회 국방위원장인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은 “북한의 위협과 미중 대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우리 군도 변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시점”이라며 “첨단 과학기술을 군사 분야에 도입하려면 지속적인 국방예산의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개회사에서 “현재의 전력증강체계로는 빠르게 발전하는 과학기술을 적시에 군에 적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며 “전력증강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방부는 국방혁신 4.0 추진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다.
그동안 3차례에 걸친 관련 세미나와 다음 달 열릴 국방 포럼을 통해 국방혁신 4.0에 대한 국민적 이해를 확산한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