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청사.(자료 사진=연합뉴스)
외교부 청사.(자료 사진=연합뉴스)

[국방신문=한상현 전문기자] 정부가 올해 유엔 북한 인권결의안에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한다. 정부가 유엔 북한 인권결의안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하는 것은 4년 만이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1일 정례브리핑에서 “우리 정부는 이번 북한 인권결의안 문안 협의에 적극 동참하고,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임 대변인은 이어 “정부는 북한 인권 문제가 보편적 인권의 문제로서 원칙에 기반한 일관된 대응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라며 “북한 인권 증진을 위한 유엔 등 국제사회의 논의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에 유엔에 제출한 북한 인권결의안은 유럽연합(EU) 주도로 추진됐다.

EU는 순회 의장국 체코를 통해 1일 유엔 총회 산하 제3위원회에 이 결의안을 제출한다.

외교부에 따르면 유엔총회는 오는 11월 중순쯤 이 결의안 채택 여부를 결정할 에정이다. 유엔총회는 지난 2005년 이래 지난해까지 17년동안 한 해도 거르지 않고 이 결의안을 연속 채택, 올해도 별다른 이변이 없는 한 채택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유엔총회 제1위원회에 상정되었던 결의와 결정안 75개 중 북한과 관련된 것은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과 핵무기 없는 세상을 위한 공동 로드맵 등 두 개다.

이 결의안은 모두 표결로 채택됐다.

임 대변인은 “정부는 각 결의안에 포함된 북핵 문안에 대해서 모두 찬성했다”며 “그 배경에는 북한의 핵 개발을 결코 용인하지 않겠다는 국제사회의 분명한 메시지를 발신한 것이고 우리 정부도 이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