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방부는 1일 로스앤젤레스(LA)급 핵추진 잠수함인 키 웨스트함(SSN 722)이 지난 31일 오전 부산 해군 작전사령부 기지에 입항했다며 관련 사진 5장을 공개했다. (사진=미국 국방부 제공)
미 국방부는 1일 로스앤젤레스(LA)급 핵추진 잠수함인 키 웨스트함(SSN 722)이 지난 31일 오전 부산 해군 작전사령부 기지에 입항했다며 관련 사진 5장을 공개했다. (사진=미국 국방부 제공)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한미 연합공중훈련인 ‘비질런트 스톰’이 한창인 가운데 미국의 전략자산인 핵추진 잠수함 키 웨스트함(SSN 722)이 지난 31일 부산 해군작전사령부 기지에 입항했다.

미 국방부는 1일 로스앤젤레스(LA)급 공격형 핵잠수함인 키 웨스트함(SSN 722)이 전날 오전 부산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미 국방부는 이날 이 사실을 이례적으로 밝히면서, 입항 모습을 담은 관련 사진 5장도 함께 공개했다.

이날 공개된 사진 속에는 키 웨스트함이 부산 해군기지로 입항할 때 도열한 해군 장병들이 앞에 플래카드를 펼치고 환영하는 모습 등이 담겨 있다.

미 국방부는 이에 대해 “인도·태평양 지역 배치의 일환으로, 계획된 항구 방문 일정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 군 관계자는 이와 관련 “이번 핵잠수함 입항은 연합훈련 등을 목적으로 들어온 것은 아니다”며 “핵잠수함과 같은 미국의 전략자산 이동에 대해선 미측과 협의없이 우리가 따로 (관련 사실을)공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미국 해군의 전략자산인 로스앤젤레스(LA)급 공격형 핵추진 잠수함 키 웨스트함(SSN 722).(자료 사진=연합뉴스)
미국 해군의 전략자산인 로스앤젤레스(LA)급 공격형 핵추진 잠수함 키 웨스트함(SSN 722).(자료 사진=연합뉴스)

키 웨스트함은 토마호크 순항미사일 발사가 가능한 12문의 수직발사관(VLS)을 갖추고 있고, 한반도 인근 해상에서는 북한 전역이 사정권에 들어간다.

일부 안보 전문가들은 키 웨스함이 참가하는 훈련 등이 예정돼 있지 않다는 점에서 ‘특별한 임무’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제기했다.

일반적으로 핵잠수함의 이동 동선은 노출하지 않는 미군의 관행과 달리 이번에 이 사실을 전격 공개한 배경도 이와 관련이 있을 것이란 추정이다.

북한이 현재 진행 중인 한미 연합공중훈련에 강력 반발하고, 맞대응 차원에서 7차 핵실험을 감행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와 ‘강력한 대북 경고’ 메시지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앞서 지난 9월 하순 키 웨스트함과 같은 급인 핵추진 잠수함 애나폴리스함(SSN 760)이 잠시 부산에 머문 적이 있다.

군 소식통은 애나폴리스함은 당시 핵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함(CVN 76)을 비롯한 항모강습단과 함께 동해 공해상에서 한미 연합훈련과 한미일 대잠수함전 훈련을 마친 후 기항했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