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미국 백악관은 2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를 침공해 전쟁을 벌이고 있는 러시아에 북한이 비밀리에 포탄을 공급하고 있다는 정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존 커비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이날 온라인 브리핑에서 “북한이 러시아에 탄약을 제공할 계획이 없다며 공개적으로 부인했지만, 미국의 정보는 북한이 상당량의 포탄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에 공급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이것으로 전쟁의 방향이 바뀔 것이라고 믿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커비 조정관은 “이것들이 중동이나 북아프리카 국가들로 보내지는 것처럼 꾸며 포탄의 실제 목적지를 숨기고 있다”며 “우리는 분명히 유엔의 틀 안에서 선택방안들을 모색할 것”이라고 유엔 차원에서 책임을 묻는 조치를 모색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나아가 “우리는 분명히 추가적인 책임 조치에 대해서 유엔 등에서 동맹, 파트너들과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 포탄이 실제로 또 얼마나 러시아에 전달됐느냐’는 질문에 “포탄 규모를 특정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가 말하는 것은 수십 발 정도가 아니라 상당량”이라고 말했다.
그는 더 이상 포탄의 종류와 규모, 구체적인 경유지 등 세부 사항은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아울러 ‘미국이나 국제기구 등이 북한의 포탄 선적을 차단할 방안이 있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이 포탄들이 실제 러시아로 전달되는지 판단하기 위해 계속 주시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다만 구체적 차단 조치 등과 관련해선 “결정하지 않았고, 현재로선 덧붙일 것이 없다”고 즉답을 피했다.
그는 아울러 “계속 주시할 것”이라며 “국제 제재가 러시아의 전쟁을 지원하는 이란과 북한과 같은 행위자들도 계속 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관련 정보를 지금 공개한 이유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이전에는 러시아가 포탄 구매를 위해 북한을 접촉하고 있다는 ‘포탄 구매 가능성’에 대해 공개했다”며 “지금은 북한이 실제로 공급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정보가 있고, 이것을 공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공급한 사실을 확인하고 “여기에도 대가가 따를 것”이라며 “우리가 이란의 대러시아 무기 제공에 맞서기 위해 모든 도구를 사용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북한의 러시아 무기 제공에 대해서도 똑같이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 등에 제재 체제가 작동 중이라는 사실을 상기시키면서 “우리는 그런 활동에 대응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추가 도구와 권한을 들여다볼 것”이라고 말해 대북 추가 제재 가능성도 내비쳤다.
그는 “우리는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뿐 아니라 러시아에 대한 지속적인 무기 제공에 있어 북한에 책임을 물을 방법을 계속 모색할 것”이라고 거듭 밝혔다.
그는 이와 관련 “세계 각국, 특히 북한 정권에 대한 영향력을 가진 나라들에 책임이 있다고 믿는다”며 “어떤 경우에 미국은 그런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러시와와 중국 등을 겨냥했다.
그러면서 “유엔 안보리가 만장일치로 채택한 제재를 완전히 이행하는 것도 안보리 상임이사국을 포함한 모든 책임 있는 나라들의 의무”라고 유엔에서 추가 대북제재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한 중국과 러시아를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미 정부는 앞서 지난 9월 러시아가 북한을 상대로 무기를 구매하는 과정에 있다며 “말 그대로 수백만 발의 로켓, 포탄이 포함될 수 있다”고 우려한 바 있다.
북한 국방부 장비총국 부국장은 그러나 지난 9월 30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담화를 통해 “우리는 러시아에 무기나 탄약을 수출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수출할 계획이 없다”고 부인했었다.
북한은 그러면서 “미국과 다른 적대 세력이 기본적인 정치적, 군사적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소문을 퍼뜨리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런 가운데 미 CNN 방송도 이날 북한이 러시아에 우크라이나에서 사용할 상당수의 포탄을 비밀리에 공급 중인 것으로 미국 정보당국이 판단했다고 보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