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송국진 기자] 미국 국무부는 북한이 최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신형 ‘화성-17형’을 발사하는 등 도발 수위를 계속 끌어 올리고 있는 가운데 7차 핵실험 가능성을 우려하며 추가 비용과 결과가 따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2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7차 핵실험을 포함해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을 여전히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북한이 7차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추가적인 비용과 결과가 따를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기 위해 한동안 이 문제를 공개적으로 말해왔다”며 북한의 핵실험은 “세계로부터 비난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와 관련 “우리는 위험하고 무모하며 불안정을 초래하는 그런 행동에 어떤 대응을 할지를 놓고 동맹, 파트너와 공개적으로는 물론 비공개적으로 논의와 정보공유, 조율을 해왔다”고 설명했다.
존 커비 미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도 이날 온라인 브리핑에서 ‘북한을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방안을 고려하느냐’는 질문에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우리의 정책은 바뀌지 않았다”며 “우리는 여전히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보길 원한다”고 말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어 2일 북방한계선(NLL) 이남으로 미사일을 발사한 북한을 향해 “미국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함께 실질적인 한국 해상 경계선 이남으로 미사일을 발사한 무모한 결정을 규탄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번 발사는 유엔 안보리가 만장일치로 채택한 여러 결의를 위반하고 역내 평화와 안정을 위협한다”며 “우리는 북한과 진지하고 지속적인 대화를 계속 모색하고 있지만, 북한이 관여를 거부하고 있는 건 비밀이 아니다”고 상기했다.
아울러 “한국과 일본에 대한 우리의 방위 공약은 틀림없이 여전히 굳건하다”며 “불법 무기 프로그램을 진전시키고 역내 안정을 위협하는 북한의 능력을 제한하기 위해 동맹·파트너와 계속해서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거듭 확인했다.
그는 북한의 NLL 이남 미사일 발사 직후 박진 외교부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장관이 “(미국)동부 시각으로 매우 늦은 밤에” 전화통화를 했던 사실을 거론하며 “두 장관은 한국 영해 인근에 떨어진 것을 포함한 북한의 무모하고 위험한 고조되는 발사 행위를 공동으로 비난하고,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고 말다.
기러면서 “당시 대화를 기회 삼아 박 장관에게 한국의 안보와 안전에 대한 철통같은 약속을 재확인했다”며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에 책임을 묻기 위해 국제사회가 단합해야 할 필요성도 강조했다”고 블링컨 장관의 발언 내용을 전했다.
그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이달 말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인도네시아를 방문할 때 블링컨 장관도 동행할 것이라며 “북한과 북한이 역내에 가하는 불안정성으로 인한 위협에 관해 논의할 기회를 가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나아가 “우리는 한국은 물론 일본 등 동맹과도 계속해서 긴밀히 접촉할 것”이라며 “양자 (한미, 미일)방식으로 그렇게 할 것이지만, 3자(한미일) 방식으로 하는 모습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공급한 사실을 확인하고 “여기에도 대가가 따를 것”이라며 “우리가 이란의 대러시아 무기 제공에 맞서기 위해 모든 도구를 사용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북한의 러시아 무기 제공에 대해서도 똑같이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 등에 제재 체제가 작동 중이라는 사실을 상기하며 “우리는 그런 활동에 대응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추가 도구와 권한을 들여다볼 것”이라고 말해 대북 추가 제재 가능성도 내비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