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서울에서 개막한 외교부와 유엔 군축실 공동 주최 ‘제21차 한-유엔 군축·비확산 회의’에서 박용민 외교부 다자외교조정관이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외교부 제공)
3일 서울에서 개막한 외교부와 유엔 군축실 공동 주최 ‘제21차 한-유엔 군축·비확산 회의’에서 박용민 외교부 다자외교조정관이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외교부 제공)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우리 정부와 유엔 군축실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제21차 한-유엔 군축·비확산 회의’에서 발사체 논의를 중심으로 북핵 문제에 대해 심층 토의가 시작됐다.

외교부와 유엔 군축실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이 회의가 3일 서울에서 개막돼 이틀간의 일정에 들어갔다.

올해로 21번째인 이번 회의에서는 ‘미래의 군축 지형 평가 : 우주 안보 및 미사일 개발’이라는 주제 아래 국제 군축비확산 체제의 시급한 과제로 꼽히는 ‘우주안보 논의 동향 평가 및 전망’ 등에 대한 토의를 진행한다.

첫날인 3일에는 날로 커지는 우주 안보 위협과 이를 줄이기 위한 국제 안보 규범 발전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4일에는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을 되짚어보고, 북핵 문제가 국제 비확산 체제에 끼친 영향 등에 대해 토론할 예정이다.

박용민 외교부 다자외교조정관과 이즈미 나카미츠 유엔 사무차장 겸 군축고위대표는 주최자 대표로 나선 개회사에서 북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공유하고, 국제사회의 단호하고 단합된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우주에서 책임 있는 행위 관련 규범 형성 등을 위한 지속적인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외교부는 “앞으로도 우리 정부는 한-유엔 군축비확산회의와 같은 국제회의 주최를 통해 글로벌 중추 국가로서 주요 국제문제 해결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군축·비확산 규범 형성을 주도하여 국제사회 논의에 건설적으로 기여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유엔 군축비확산회의는 지난 2001년 한국의 유엔 가입 10주년을 기념해 군축·비확산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작된 1.5트랙 국제회의다.

매해 연말에 그 해의 관심이 높은 주제를 선정해 집중 논의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는 박 조정관과 나카미츠 차장 외에 말로리 스튜어트 미국 국무부 군비통제검증이행 차관보 등 40여 명의 주요국 정부, 국제기구, 학계의 군축·비확산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