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한 국가안보실장.(사진=연합뉴스)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사진=연합뉴스)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이 "북한의 7차 핵실험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북한의 도발에는 대가가 따를 것”이라고 거듭 경고했다.

김 실장은 8일 국회에서 열린 대통령실 국정감사에서 북한이 치를 대가에 대해 “국제 고립을 더욱 심화한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날 대통령실 업무보고에서 “북한은 유례없는 빈도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9·19 군사합의를 위반해 방사포 사격을 하는 등 위협적인 도발을 지속적으로 감행하고 있다. 동해 NLL(북방한계선)을 침범해 탄도미사일을 발사해 우리 영해 인근에 낙탄했고, ICBM(대륙간탄도미사일)도 발사했다”고 북한의 최근 연쇄 도발을 구체적으로 거론하며 “현재의 한반도 안보현실은 매우 엄중하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엄중한 안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며 “국회의 협력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이 8일 국회 운영위원회의 대통령 비서실·국가안보실·대통령 경호처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이 8일 국회 운영위원회의 대통령 비서실·국가안보실·대통령 경호처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그는 이어 “5월부터 윤석열 정부는 자유·인권 가치에 기반한 보편적 국제규범을 지지하고 수호하는 글로벌 중추국가를 새로운 외교지향점으로 천명했다”며 “이를 위해 다각적 노력을 경주해왔다”고 말했다.

아울러 “자유를 위한 국제 연대 강화라는 우리의 대외정책 핵심기조를 국제사회에 각인시켰다”고 자부했다.

그는 한일관계와 관련 “한일관계 정상화 발판을 마련했다”며 “2년 9개월 만에 개최된 한일 정상회담은 관계 개선을 위한 중요한 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와 관련 “한미일 3자 안보 협력도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며 대표적인 성과로 “한미 확장억제와 연합방위태세를 보다 공고히 하고, 경제 및 산업기술 분야로 협력범위를 확대해 이른바 행동하는 한미동맹을 구현했다”는 점을 꼽았다.

그는 또 “경제가 안보, 안보가 경제인 시대에 맞게 경제안보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적극적으로 전개했다”며 공급망 분야 국제 협력, 방산 수출 등을 사례로 들었다.

그러면서 “북한 도발에 맞서 압도적 연합방위 태세와 한미일 안보협력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