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지난 2일 북한이 동해상 북방한계선(NLL) 이남으로 발사한 SA-5 미사일 잔해물 추정 물체를 9일 공개했다.(사진=공동취재 연합뉴스)
국방부는 지난 2일 북한이 동해상 북방한계선(NLL) 이남으로 발사한 SA-5 미사일 잔해물 추정 물체를 9일 공개했다.(사진=공동취재 연합뉴스)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북한이 지난 2일 동해상 북방한계선(NLL) 이남으로 발사한 미사일은 북한의 SA-5 미사일로 드러났다.

국방부는 9일 “우리 군은 지난 6일 동해 NLL 이남에서 북한의 지난 2일 발사 도발 미사일 잔해물을 인양했다”며 “인양된 잔해물은 길이 약 3m, 폭 약 2m 정도 됐으며 형상 및 특징을 볼 때 북한의 SA-5 미사일로 판명됐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해군 광양함이 무인수색기(ROV)를 이용해 이 미사일 잔해물을 지난 6일 인양한 후 관계 기관 합동으로 정밀분석을 진행해 왔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북한의 SA-5는 원래 1960년대 옛 소련이 지대공미사일로 개발한 것이지만 군 당국은 “지대지미사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지난 2일 북한이 동해상 북방한계선(NLL) 이남으로 발사한 SA-5 미사일 잔해물 추정 물체를 9일 공개했다.(사진=공동취재 연합뉴스)
국방부는 지난 2일 북한이 동해상 북방한계선(NLL) 이남으로 발사한 SA-5 미사일 잔해물 추정 물체를 9일 공개했다.(사진=공동취재 연합뉴스)

사정거리가 약 250㎞ 정도인 이 미사일은 원래는 액체연료 추진 방식이었다. 북한은 2000년대 초부터 노후화된 SA-5 등 액체연료 추진 미사일을 고체연료 추진 방식으로 개량 사업을 진행해 왔다.

최근 러시아도 유사한 지대공미사일을 우크라이나전쟁에서 지대지미사일로 사용하기도 했다.

국방부는 지난 2일 북한이 동해상 북방한계선(NLL) 이남으로 발사한 SA-5 미사일 잔해물 추정 물체를 9일 공개했다.(사진=공동취재 연합뉴스)
국방부는 지난 2일 북한이 동해상 북방한계선(NLL) 이남으로 발사한 SA-5 미사일 잔해물 추정 물체를 9일 공개했다.(사진=공동취재 연합뉴스)

국방부는 “이번 북한의 SA-5 미사일 발사는 계획적으로 의도된 도발이 분명하다”며 “우리 군은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고 ‘9·19 군사합의’를 위반한 북한의 이번 미사일 도발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군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북한의 어떠한 도발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한미동맹의 압도적 능력으로 단호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