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준국 주유엔대사가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대응 논의를 위해 소집된 안전보장이사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사진=AP 연합뉴스)
황준국 주유엔대사가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대응 논의를 위해 소집된 안전보장이사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사진=AP 연합뉴스)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북한이 최근 탄도미사일 발사 등 도발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황준국 주유엔대사가 중국과 러시아가 자국의 이익을 계산해 북한을 마냥 감싸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 대사는 9일(현지시간) 미 자유아시아방송(RFA)과 인터뷰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상임 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추가 대북제재와 집행에 한계가 있다’는 진행자의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다.

그는 중국 정부의 북한 도발 대응과 관련 “어차피 북한의 도발 수위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한미일 입장에서는 군사적인 대비 태세를 안 할 수 없고, 억지력을 실효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며 “과연 북한 편을 드는 것이 중국의 안보 환경에 도움이 되는 것인지도 생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북한과 러시아 관계에 대해서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더욱 밀착하고 있다”면서도 장기적으로 이러한 협력관계를 유지할지에 대해서는 “좀 더 두고 볼 일”이라고 말을 아꼈다.

그는 이어 “중국과 러시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나라들이 북한의 이런 도발을 강한 어조로 규탄하고 있다”며 “중국과 러시아가 계속 이런 입장을 취할 수 있느냐, 국익에 부합되느냐를 심각하게 생각해 볼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최근 몇 년간 미국, 중국, 러시아 간의 대립과 경쟁이 심해지는 배경 하에서 안보리에서 실효적인 조치를 못하고 있고, 북한이 심각한 도발의 빈도와 강도를 높이고 있는 상황”이라며 “결국 북한에 대한 비난과 규탄은 중국과 러시아(결심)와 연결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은 국제사회에서 고립되고 경제적으로 제재를 받는다 하더라도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정치적, 경제적 지원을 받으면 살아남을 수 있다, 유지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이미 굉장히 강력한 제재가 부과돼 있는데 제재 회피나 위반이 많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 문제다. 핵실험 등이 일어나는 경우 중국과 러시아를 설득해서 추가 제재를 더 하는 조치를 해나가려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