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로이터통신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로이터통신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어떤 종류든 북한이 새로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전례 없는 공동대응에 직면할 것”이라고 강력 경고했다.

윤 대통령은 29일 보도된 로이터통신과 인터뷰에서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실시할 경우 한국과 그 동맹이 무엇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하는 것은 극히 현명하지 못한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지금까지 취하지 않았던 대응들이 포함된다고 할 수 있겠죠”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북한이 (핵실험을 통해) 무엇을 얻으려고 하는지, 굉장히 어리석은 결정이 될 것이라고 저는 생각한다”며 “(국제사회가) 일관되고 같은 목소리를 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거듭 밝혔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지난 30년간 대북정책과 관련한 국제사회의 대응에 일관성이 부족했다고 지적하며 "우리는 한결같이, 그리고 서로 발맞춰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윤 대통령은 또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등 무력시위를 계속하는데 대해 “중국은 북한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충분한 능력과 국제사회에서 책무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중국의 역할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 인터뷰에서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서 책임을 이행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을 경우 역내 군사적 자산 유입으로 이어질 것이라고도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나 한미가 북 핵·미사일 위협 고도화에 따라 한반도에 전략자산 전개, 배치 강화에 나선 것과 관련 현재 2만8500명 수준인 주한미군 규모에는 변화를 기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그러면서 “북한 비핵화를 끌어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중국에도 이로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대만 문제에 대해서는 “일방적인 현상 변경은 모든 질서와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것으로 강력하게 반대한다”고 중국의 대만통일 정책에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윤 대통령은 이와 관련 한국군의 역할에 대한 질문에 “(한국군으로서는) 우리 주변(한반도)에서 벌어지는 가장 위험한 상황부터 대응하고 통제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선을 그었다. 

일본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등을 이유로 방위비를 늘리고 있는 것과 관련 “일본 열도 머리 위로 미사일이 날아가는데 국방비를 증액 안 하고 그냥 방치할 수는 없지 않았을까(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