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양기반 기자] 군이 첨단무기를 신속하게 전력화하는 데 현행 시험평가 제도가 경직돼 있다며 유연하게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방산업계에서 제기됐다.
방위사업청과 국회 국방위원회 신원식 의원실 공동 주최로 29일 서울 용산 국방컨벤션에서 열린 ‘무기체계 시험평가 제도 선진화 토론회’에서 방산업계 참석자들은 수출 성장과 민간 주도의 국방 연구개발 활성화에 초점을 맞춰 시험평가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며 이같이 입을 모았다.
이날 토론회는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이 적용된 무기체계를 신속하게 전력화할 수 있도록 획득절차 중 하나인 시험평가 제도를 첨단 무기체계에 적합하게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열렸다.
방사청은 이 자리에서 무기체계 시험평가 제도개선 방안으로 시험과 평가의 구분, 평가 기능 강화, 시험평가 전문기관 지정 등을 제시했다.
엄동환 방사청장은 “첨단무기의 신속한 전력화를 위해 기존의 틀을 과감히 개선해 유연하면서도 성능과 품질을 보증할 수 있는 시험평가 제도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원식 의원은 “첨단 및 유·무인 복합 무기체계에 걸맞은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시험평가 제도가 모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공동 주최자인 신 의원과 엄 청장, 유동준 국방부 전력자원관리실장 등 국방부 관계자 국회, 합동참모본부, 각 군,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방산 업체 등에서 200여 명이 참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