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미국 백악관 고위 관리가 북한의 7차 핵실험 가능성 등 핵 위협 고조에 따른 한국의 자체 핵무장론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혔다.
커트 캠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조정관은 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아스펜 안보포럼’에서 한국에서 최근 자체 핵무장 여론이 높아지고 있는 것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확장억지를 계속 강조해야 할 이유”라고 말했다.
캠벨 조정관은 이와 관련 북한의 핵 위협이 역내에서 안보 불안을 조장하고 있다면서도 “지난 수십 년간 인도‧태평양에서 미국의 확장억지와 핵우산의 안정성과 신뢰도는 큰 성과 중 하나였다”고 강조했다.
이는 한국 등 아시아에서 핵무기를 구축할 가능성이 있는 많은 나라들이 핵무장 대신 미국의 확장억지의 힘에 의지하고 있다는 뜻을 피력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그러나 “이것이 현재 도전받고 있다”며 북한의 추가 핵실험 가능성과 핵 위협을 거론했다.
그러면서 “이는 잠재적으로 불안정을 초래할 것”이라며 “우리는 북한과 중국, 다른 국가의 그런 움직임이 미국과 일본, 한국의 대응에 직면하리라는 점을 매우 분명히 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이런 공개적인 위협들이 동북아시아에서 일종의 불안을 조장하고 있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아울러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공공연한 핵무기 사용 위협과 중국의 핵 역량 증강도 불안 요소로 지적했다.
그는 이에 대해 “우리의 확장억지를 강조해야 할 매우 지속적인 이유”라며 “미국은 재래식 전력 뿐 아니라 공개적인 (핵) 정책과 배치를 통해 필요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핵 억지력이 여전히 견고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인도‧태평양에서 핵 억지력을 유지하는 데 매우 전념한다는 점을 한국, 일본 등에 분명히 해야 한다”며 “이는 앞으로 큰 도전이면서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