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탈북민 친정집 나들이’ 행사가 지난 10일부터 11일까지 경기도 안성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하나원)에서 열려 남북한 주민이 함께 준비한 난타 공연을 선보이고 있다.(사진=통일부 제공)
‘2022 탈북민 친정집 나들이’ 행사가 지난 10일부터 11일까지 경기도 안성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하나원)에서 열려 남북한 주민이 함께 준비한 난타 공연을 선보이고 있다.(사진=통일부 제공)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미국 재무부가 북한의 국가안전보위성 국경경비총국을 추가 제재 대상으로 이름을 올렸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9일(현지시간) 유엔이 정한 세계 부패 반대의 날(9일)과 인권의 날(10일)을 맞아 중국, 러시아, 이란 등을 겨냥한 제재를 발표하면서 북한의 국경경비총국을 포함시켰다.

북한 국경경비총국은 중국·러시아의 국경을 관리하는 기관으로 “지뢰와 ‘발견 즉시 사살’ 명령을 포함한 엄격한 국경 통제로 수많은 북한인이 사망했다”고 미 재무부는 제재 이유를 설명했다.

OFAC는 아울러 “북한 사람들은 정부에 의해 강제노동, 고문, 인권침해와 학대를 당하고 있다”며 “국경경비총국을 비롯한 국가안보기관들의 탈북 저지 시도 탓에 북한을 벗어나기 위한 여정은 매우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2022 탈북민 친정집 나들이’ 행사가 지난 10일부터 11일까지 경기도 안성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하나원)에서 열려 참가자들이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사진=통일부 제공)
‘2022 탈북민 친정집 나들이’ 행사가 지난 10일부터 11일까지 경기도 안성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하나원)에서 열려 참가자들이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사진=통일부 제공)

OFAC는 지난해 12월 북한 노동자 해외 송출 혐의로 제재 대상에 포함시켰던 애니메이션 제작기관 ‘조선4·26만화영화촬영소(SEK)’ 관련 추가 제재에도 나섰다.

한편 OFAC는 북한 제재와 별개로 중국과 러시아, 이란 등에 대한 대규모 제재 조치도 이날 함께 발표했다.

중국의 경우 티베트 자치구에서 소수 민족 인권침해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우징예 전 자치구 당서기와 장훙보 공안청장 두 사람을 새로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또 원양어선 선단을 운영하며 외국인 노동자들을 가혹하게 대한 개인 2명과 관련 기업 10곳, 선박 157척도 제재 대상에 올렸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