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2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더불어민주당 ‘윤석열정권정치탄압대책위원회’ 주최로 열린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및 흉악범죄자 추방 사건 관련 기자회견’에 참석한 노영민 전 대통령 비서실장(왼쪽)과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자료 사진=국회사진기자단 연합뉴스)
지난 10월 2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더불어민주당 ‘윤석열정권정치탄압대책위원회’ 주최로 열린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및 흉악범죄자 추방 사건 관련 기자회견’에 참석한 노영민 전 대통령 비서실장(왼쪽)과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자료 사진=국회사진기자단 연합뉴스)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검찰이 지난 2020년 9월 발생한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과 관련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을 구속 기소한 데 이어 노영민 전 대통령비서실장을 13일 소환해 조사 중이다.

검찰은 또 이 사건과 관련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도 14일 소환 조사한다.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1부(이희동 부장검사)는 이날 노 전 실장을 피고발인 신분으로 소환했다.

노 전 실장은 전 해양수산부 공무원 고 이대준씨가 북한군에 피격돼 사망한 다음날인 2020년 9월 23일 새벽 1시쯤 서훈 당시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열린 긴급 관계 장관 회의에도 참석했다.

이어 같은 날 오전 8시 30분쯤 당시 문재인 대통령에게 이씨 사망 사실과 사건 발생 경위 그리고 조사 결과 등을 서 전 실장과 함께 대면보고를 했다.

그는 문 전 대통령 재임 때 2019년 1월부터 2년 가까이 비서실장을 역임했다.

당시 보고를 받은 문 전 대통령은 “만약 첩보가 사실로 밝혀지면 국민이 분노할 일”이라며 “사실관계를 파악해 있는 그대로 국민에게 알려라”라고 지시했다.

정부는 당시 유엔사 국가 정전위원회를 통해 북한에 사실관계 파악을 요청하고, 수집한 첩보를 분석하며 사건 경위 등을 조사했다.

노 전 실장은 이튿날인 24일 오전 8시쯤 다시 소집된 관계장관 회의에서 국방부의 조사 결과를 보고받은 뒤 다시 서 전 실장과 함께 문 전 대통령에게 대면보고했다.

문 전 대통령은 27일 관계장관 회의를 직접 주재한 자리에서 국방부의 이씨 시신 소각 발표가 너무 단정적이라고 지적하고 이를 다시 분석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전해졌으며, 노 전 실장도 이 회의에 참석했다.

검찰은 13일 소환한 노 전 실장을 상대로 이 사건 발생 이후 열린 관계장관 회의에서 논의 내용과 문 전 대통령의 당시 지시 사항 등을 확인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검찰은 박지원 전 국정원장에게 14일 오전 10시 검찰청사에 출석할 것을 통보했다.

박 전 원장은 전날 저녁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검찰과 변호인 사이에 소환 일정을 조정했고, 검찰 소환에 응하겠다”며 “공개 소환을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 전 원장은 이 사건 발생 후 관련 첩보 보고서 등을 무단 삭제했다며 국정원으로부터 국가정보원법상 직권남용 등 혐의로 올해 7월 고발당했다.

감사원 감사 결과에 따르면 박 전 원장은 이대준씨 피살이 확인된 이튿날인 그해 9월 23일 새벽 1시쯤 열린 관계장관 회의 후 국정원의 첩보 보고서 등 46건의 자료를 무단 삭제했다.

검찰은 박 전 원장이 이날 관계장관 회의에서 서 전 실장으로부터 “보안을 유지하라”는 지시를 받고 국정원에 관련 첩보 문건 삭제 등을 지시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박 전 원장은 관련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