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양기반 기자] 미래 전장에 필요한 헬기전력 발전을 위해서는 인공지능(AI) 기반 유‧무인 복합체계 기술이 핵심 요소라는 전문가들의 진단이 나왔다.
또 미래전에 헬기의 고속기동과 장거리 비행도 과제로 꼽혔다.
방위사업청 주최로 21일 서울 공군호텔에서 열린 ‘헬기 유무인복합체계 및 헬기전력 발전방안’ 주제 세미나에서 발표자와 토론자들은 “첨단 군사과학기술이 적용될 미래 전장에서 전장인식능력 확대, 생존성 증대, 정밀타격능력 향상 등은 전장의 판도를 바꾸는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같이 입을 모았다.
미래 전투수행 개념과 4차산업혁명 기술 발전에 맞춘 헬기전력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이 자리에서 정성용 육군항공사 작전계획과장은 ‘미래 전투수행개념 및 헬기전력 발전방향’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우리 군의 헬기전력 현주소를 분석하고 군이 원하는 미래 헬기전력 모습을 제시했다.
정진연 국방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연계한 '지능형 군집 무인기 기술개발 현황'을 발표하고 유무인 복합체계에 필요한 핵심기술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세부 실천방안을 제안했다.
김덕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미래전을 대비한 차세대 고기동 헬기개발 방안’이라는 주제를 발표해 참석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이어 2부에서는 이관중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를 좌장으로 발표주제에 대한 전문패널 토론과 참석자들의 현장질의 및 답변 형식으로 토론이 진행됐다.
현재 우리 군의 헬기전력 수준은 수리온 계열 기동헬기 전력화와 소형무장헬기 개발을 통해 핵심기술 및 노하우를 축적하는 단계다.
이종화 방사청 헬기사업부장은 이번 세미나의 의미에 대해 “지속적으로 추진 중인 방위력 개선과 자주국방기술력 제고 노력이 4차 산업혁명 기술과 헬기전력 연계라는 과제를 실현함으로써 성공적인 미래 국방 분야 발전모델을 제시하는 초석이 될 것”이라며 “우리 군 헬기전력의 발전 뱡향과 유·무인복합체계 구축에 대한 아이디어를 나눠보고, 나아가 국방경쟁력과 경제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를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