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인권단체 ‘세이프가드 디펜더스’가 중국 해외 비밀경찰서로 지목한 헝가리의 한 건물.(자료 사진=AP 연합뉴스)
국제인권단체 ‘세이프가드 디펜더스’가 중국 해외 비밀경찰서로 지목한 헝가리의 한 건물.(자료 사진=AP 연합뉴스)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최근 세계적으로 큰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중국의 해외 비밀경찰서 운영 의혹과 관련 서울에도 설치됐으며 강남의 한 음식점이 거점으로 의심된다는 국내 한 언론의 보도에 대해 주한중국대사관이 23일 “전혀 사실무근”이라며 유감을 표명했다.

주한중국대사관은 이날 한국 언론에 배포한 대변인 명의의 입장문을 통해 “한국의 개별 언론이 정보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이 서울에 해외경찰서를 설치했으며 강남의 한 음식점이 거점으로 의심된다고 보도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이른바 (중국의) ‘해외경찰서’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고 거듭 주장했다.

앞서 중국 외교부 마오닝(毛寧)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소위 말하는 중국의 해외 경찰서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며 관련 의혹을 전면 부인하는 입장을 밝혔다.

주한중국대사관은 “중국은 일관되게 내정 불간섭 원칙을 견지하고 있고 국제법을 엄격히 준수하고 있으며 각국의 사법 주권을 존중하고 있다”며 외교부 대변인 발표를 되풀이하고 “지난 수년간 중국 공안·검찰 당국은 한국 경찰·검찰 측과 긴밀한 소통 채널을 구축해 양측 간 높은 수준의 협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어판 입장문에서는 “주한중국대사관도 한국 측 유관 부처와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고 있다”는 말도 덧붙였다.

주한중국대사관은 또 이 보도를 한 ‘조선일보’를 겨냥해 “관련 언론이 떠도는 소문을 근거로 고의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중단하고, 중한 양국 국민 간 이해와 우호 감정을 촉진하고 강화하기 위해 실질적인 일을 많이 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조선일보는 ‘정보 소식통’을 인용해 23일 ‘단독’ 보도라며 “우리 방첩 당국이 서울의 한 중국 음식점을 유력한 거점으로 판단하고 조사 중인 것으로 22일 알려졌다”며 “방첩 당국은 서울 강남권에 있는 한 중식당이 중국의 한국 내 비밀경찰 조직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실태 파악에 나섰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중국인이 운영하는 이 음식점은 건물, 메뉴 등 겉으로 봐서는 서울의 일반 중식당과 큰 차이가 없다. 이 식당을 운영하는 법인은 2018~2019년 매출보다 2~3배 큰 당기순손실을 냈고, 최근엔 코로나 방역으로 피해가 컸는데도 현재까지 6년 이상 영업하고 있는 점 등을 당국은 의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9월 스페인에 본부를 둔 국제인권단체 ‘세이프가드 디펜더스’는 중국이 반체제 인사를 탄압하기 위해 유럽을 중심으로 해외 21개국에 54개의 비밀 경찰서를 개설했다는 의혹을 처음으로 제기했다.

이어 지난달에는 중국이 비밀경찰서를 한국을 포함해 48곳에서도 추가 시설을 확인했다며 모두 53국에서 102곳 이상 운영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면서 한국에서도 난퉁(南通)시 공안국이 1곳을 운영 중이라고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해외 주재 대사관의 경우 영사활동은 물론 자국민 조사라 하더라도 주재국 정부를 통하지 않으면 모두 주재국 주권침해 또는 내정 간섭으로 간주하는 게 국제법상 관행이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