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항공자위대 항공기(위)와 해상자위대 호위함 이즈모함(아래).(자료 사진=연합뉴스)
일본 항공자위대 항공기(위)와 해상자위대 호위함 이즈모함(아래).(자료 사진=연합뉴스)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일본 방위성이 내년에 미국의 무기 등 군사 장비를 사들이 예산으로 1조4768억엔(약 14조647억원)을 편성했다.

일본 정부가 지난 16일 ‘적 기지 반격 능력’ 보유를 공식 선언한 이후 ‘전쟁 가능 국가’로 향하는 본격적인 군비 증강에 나선 모습이다.

29일 일본 유력지 ‘아사히신문(朝日新聞)’ 보도에 따르면 일본 방위성의 내년 예산안에 반영된 미국 대외군사판매(FMS)를 통한 무기 계약액을 이같이 책정했다.

이번 주요 계약 내역으로는 ▲순항미사일 토마호크 2113억엔(약 2조120억원) ▲전투기 F-35A 1069억엔(약 1조180억원) ▲F-35B 1435억엔(약 1조3666억원) ▲F-15 능력향상형 1135억엔(약 1조809억원) ▲SM3블록2A 595억엔(약 5660억원) ▲SM6 136억엔 (약 1294억원) 등이다.

방위성 관계자는 “무기 계약액 합계는 6000억엔(약 5조7107억원)이 넘지만 이밖에 유상‧무상 계약액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 신문은 이번 예산 규모는 조기경보기 E2D를 대량 구매해 역대 최고액을 기록했던 지난 2019년 7013억엔(약 6조6790억원)보다 2배 이상 늘어난 사상 최대 액수라고 분석했다.

FMS는 미국이 정부 대 정부 계약 방식으로 동맹국에 무기 등 군사 장비를 판매하는 제도다. 미국의 최신 군사 장비 도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FMS는 선불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납품이 늦어지거나, 최종계산서를 받지 못하는 등 문제가 발생한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작년 기준으로 아직 납품받지 못한 군사 장비 규모는 123억엔(약 1179억원) 어치에 달하며, 400억엔(약 3800억원)은 미국으로부터 정산을 받지 못한 상태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