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6일 일본 해상에서 열린 국제관함식에서 사열을 하고 있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자료 사진=일본 NHK 방송 화면 갈무리)
지난해 11월 6일 일본 해상에서 열린 국제관함식에서 사열을 하고 있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자료 사진=일본 NHK 방송 화면 갈무리)

[국방신문=한상현 전문기자] 러시아가 일본의 지난 연말 ‘적 기지 타격 능력 보유’ 선언 및 66조원 넘는 사상 최대의 2023년 방위비 편성 등 군사대국화 움직임에 대해 ‘상응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며 강력 경고하고 나섰다.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은 3일(현지시간)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과 인터뷰에서 “우리는 기시다 내각이 평화적 발전 정책을 포기하는 것을 가속화하고, 수십 년간 공언해온 평화발전 노선을 버리고 빠른 군사화 궤도에 올라탔다”고 밝혔다.

루덴코 차관은 이와 관련 사례로 “비지역 파트너들과 함께 러시아 국경 근처에서 대규모 군사 훈련을 개최하는 것”을 들었다.

아울러 “일본이 공격 가능성과 전례 없는 방위비 지출 증가를 목표로 국방 및 안보 분야 문서 개정 버전을 채택했다”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12월 16일 임시 각의(閣議)를 열어 반격능력을 명시하는 등 방위력을 근본적으로 강화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외교·안보 3대 문서 개정을 의결했다.

3대 문서는 일본 정부의 ‘국가안전보장전략’과 ‘국가방위전략’, ‘방위력정비계획’ 등을 가리킨다.

일본 방위성은 지난달 하순 2023회계연도(2023.4∼2024.3) 방위비로 올해보다 26% 늘어난 사상 최대 규모의 6조8000억엔(약 66조6500억원)으로 편성했다.

일본 방위성은 또 내년에 미국 대외군사판매(FMS)를 통한 무기 계약액을 1조4768억엔(약 14조647억원)을 편성했다. 지난 2019년 대비 2배 가량이라고 일본 언론들이 세밑에 보도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왼쪽)가 지난 2021년 11월 27일 일본 도쿄의 육상자위대 아사카 캠프에서 전차를 타고 있다.(자료 사진=AP연합)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왼쪽)가 지난 2021년 11월 27일 일본 도쿄의 육상자위대 아사카 캠프에서 전차를 타고 있다.(자료 사진=AP연합)

루덴코 차관은 “우리는 일본의 이러한 활동을 우리나라와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체 안보에 대한 심각한 도전으로 간주한다”며 “이러한 움직임이 계속될 경우, 우리는 러시아에 대한 군사적 위협을 차단하기 위해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것임을 경고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인터뷰에서 러시아와 일본 간 평화조약 협상 중단 사태에 대해서도 일본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응징을 위한 서방의 대러 제재에 적극 동참한다는 이유로 일본과 평화조약 체결 협상을 거부한다며 비교적 상세하게 언급했다.

그는 “(러시아에) 노골적으로 비우호적 태도를 보이고 직접적 위협을 감행하는 국가와 평화조약 체결 논의를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와 함께 “우크라이나 내 '특별군사작전' 개시 이후 기시다 정부는 서방이 주도하는 반러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면서 오랜 기간 축적된 상호 유익한 협력 성과들을 와해시켰다”고 일본을 비난했다.

러시아와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적국으로 전쟁을 벌인 후 남쿠릴열도 4개섬(일본명 북방영토)를 둘러싼 영토 분쟁 때문에 아직 평화조약을 체결하지 못한 상황이다.

양국은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 재임 때 이들 분쟁 영토 문제를 해결해 평화조약을 체결하려는 협상을 적극적으로 벌였으나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

러시아는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후 3월에 일본이 서방국가들의 대러시아 제재 동참을 이유로 평화조약 체결 협상 중단을 선언한 바 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