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이란 외무부가 ‘아랍에미리트(UAE)의 적은 이란’이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 한국 정부의 대응을 일부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불만스런 입장을 여전히 드러냈다.
23일(현지시간) 이란 국영 IRNA 통신에 따르면 나세르 칸아니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정례 기자회견에서 “테헤란과 서울에서 우리는 진지한 입장을 전달했다”며 “대화에서 한국 정부는 실수를 바로잡으려는 의지를 보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관점에서 조치는 충분하지 않았다”고 여지를 남겼다.
이란 외무부의 이 같은 입장 표명은 윤 대통령의 지난 15일(현지시간) 발언과 관련, 양국이 지난 19일 상대국 주재 대사를 서로 초치한 뒤 처음 나온 이란 정부의 공식 반응이다.
칸아니 대변인의 이날 언급은 최근 걸프 해역(페르시아만)을 ‘아라비아만’(Arabian Gulf)으로 호칭한 이라크·중국 그리고 윤 대통령의 ‘UAE의 적’ 발언 등 외교 현안에 대한 이란 외무부의 대응을 묻는 기자의 질의에 답변 과정에서 나왔다.
이란은 아라비아반도 사이의 해역 명칭을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페르시아만이 아닌 ‘아라비아만’으로 호칭하는 것을 두고 중국 등과 갈등을 빚어왔다.
칸아니 대변인은 이날 한국과 중국 정부를 향해 시의적절하며 진지한 이란의 입장을 전달했다면서 “지역(중동) 국가들과 협력을 모색하는 역외 국가들은 불필요한 긴장을 피하고, 상호협력과 안정을 강화하는 행동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칸아니 대변인은 이날 “동결자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에 만족하지 못한다”면서 “한국 내 이란 자금은 양국의 다른 현안과 관계없이 반환돼야 한다”고 양국 간 민감한 현안을 다시 꺼냈다.
이란이 언급한 동결자금은 미국의 대이란 제재로 한국에 원화로 묶여 있는 70억 달러 가량의 이란 자금을 가리킨다.
이는 이란이 한국에 수출한 원유 대금 등으로, 미국 정부가 지난 2018년 이란의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탈퇴에 대이란 제재를 복원한 데 따른 것이다.
이 동결 자금은 이란의 해외 동결 자산 가운데 최대 규모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과 이란 관계 개선의 해묵은 숙제이기도 하다.
윤 대통령은 지난 15일(현지시간) UAE에 파병된 아크부대를 격려 방문한 자리에서 “UAE의 적은, 가장 위협적인 국가는 이란이고 우리 적은 북한”이라고 말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