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조구현 기자] 북한이 최근 고체연료 엔진 시험을 한 정황이 포착돼 고체연료용 발사체 개발과 관련 주목된다.
미국 제임스마틴 비확산센터가 30일(현지시간) 공개한 ‘플래닛 랩스’의 위성사진에는 북한의 함경남도 마군포 엔진시험장 내 시험대 바로 옆 들판이 검게 그을린 모습이 확인됐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그을린 흔적은 엔진 시험대 끝부분에서 시작돼 기다란 나팔 모양으로 뻗어있으며, 그 길이가 120m였다.
인근 다른 지대는 눈이 덮인 것과 달리 이곳만 검게 그을렸고, 흙바닥이 드러난 상태여서 현장에서 강력한 화염이 분출된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마군포 엔진시험장의 시험대는 수평 구조로 설치돼 화염이 아래쪽이 아니라 동쪽으로 뻗어나가게 돼 있다고 분석했다.
이 시험은 한국 시간으로 30일 전후에 이뤄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정확한 시간은 현재까지 파악되지 않았다.
다만 지난 29일(현지시간) 오전 10시 53분에 촬영된 현장 위성사진에서 보이지 않았던 그을린 흔적이 30일 오전 9시 3분 촬영된 위성사진에는 나타나 그 사이에 연소 시험이 실시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번 시험 정황을 포착한 데이비드 슈멀러 제임스마틴 비확산센터 선임연구원은 30일 VOA와 전화통화에서 “북한 동해안 흥남 바로 옆 마군포에 북한의 주요 고체연료 시험장이 들어서 있다”며 “마군포는 북한 화학 공업의 중심지로 로켓용 고체연료도 생산하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슈멀러 선임연구원은 “북한이 우주개발(위성) 발사 프로그램에 고체연료를 사용한 적은 없어 이번 시험을 미사일 프로그램용으로 본다”면서도 고체연료 기술이 두 프로그램 모두에 활용 가능하다는 점을 들어 “위성발사용 로켓 추진체 개발이 목적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달 15일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내 새 엔진 시험대에서 고체연료를 사용한 ‘고출력 로켓 엔진’ 시험을 실시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