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양기반 기자] 서울시와 국립전파연구원이 교통, 통신, 에너지 등 국민 생활과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고출력 전자기파(EMP) 위협에 공동 대응키로 했다.
서울시는 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과 EMP 공동대응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업무협약의 주요 내용은 ▲EMP 방호대책 마련 및 기술개발 협력 ▲EMP 분야 기술지원, 자문 및 전문인력 교류 ▲기관이 보유한 시설과 장비의 이용 협조 등이다.
두 기관은 올해부터 주요시설에 대해 EMP 취약점 분석·평가 및 보완대책 마련 등을 함께 수행한다.
국립전파연구원은 EMP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방호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교육, 컨설팅, 방호대책 설계 및 성능시험 등을 지원한다.
서울시는 도시의 중추 기능을 담당하는 주요시설에 대한 EMP 취약점을 점검하고 시설의 중요도 및 운용 특성, 설치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효율적인 방호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해 카카오 플랫폼 서비스의 장시간 중단 사태 이후 한순간에 모든 주요시설의 기능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EMP 공격에 대한 방호체계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
EMP는 인공적으로 발생시키는 강력한 파장이 펄스 형태로 방출되는 전자기파를 의미한다. 전기를 사용하는 의료기기, 통신수단, 교통수단, 공장설비 등의 내부회로를 순간 또는 영구적으로 손상시키거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현대사회는 대부분의 사회기반시설이 첨단 정보통신체계로 운용되고 있고 상호 유기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어 한 부분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사회 전반으로 영향이 확대될 수 있다.
국립전파연구원은 지난 20여년간 EMP 위협에 관한 연구와 정책을 수행해 온 국내 최고의 전문기관으로 ‘전파법’ 제56조에 따라 방호시설에 대한 안전성 평가 제도를 제정·운영하고 있다.
김진만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대부분의 공공인프라 시설이 첨단 정보통신체계로 운용되고 있어 EMP 공격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사전 방호대책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전문성을 갖춘 국립전파연구원과 함께 시민안전을 위협하는 새로운 유형의 재난에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성일 국립전파연구원 원장은 “서울시가 추진하는 주요시설의 방호대책 수립과 추진에 적극 협력할 예정”이라며 “서울시 외의 주요시설에 대해서도 EMP 분야 선제적 재난 대응 확산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