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김한규 기자] 방위사업청은 방산업체를 대상으로 ‘사이버 보안 취약점 진단 사업’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방산업체가 운영하는 인터넷 서버와 전자우편 시스템 등을 점검해 해킹 위험 요소가 있는지를 진단하는 사업이다.
방사청은 최근 국내 방산업체의 기술자료를 빼내려는 해커의 위협이 증가하고 있고,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 증가로 사이버 침해사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에 이 사업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방사청은 이번 사업을 통해 취약점 진단 및 모의 해킹 등을 실시해 해커로부터 위협이 될 수 있는 취약점을 사전에 식별하고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해킹으로 인한 침해사고는 대량 자료 유출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고, 회수가 사실상 불가능한 불가역적인 피해를 남김으로써 국가안보에 직접적인 위해가 된다.
방사청은 1월 11일부터 20일까지 공고를 통해 대기업 2개 업체와 중소·중견기업 8개 업체를 선정할 예정이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업체는 방위사업청 누리집(http://www.dapa.go.kr)을 통해 신청 방법과 양식을 확인할 수 있다.
사업 참여 업체는 2020년 방위산업기술보호 통합 실태조사(정보보호) 점수, 재택근무 실시 여부, 인터넷 서버 보유 현황, 한국방위산업진흥회 추천 여부 등을 고려해 선정한다.
또한, 방산업체의 사이버 보안 취약점을 진단할 업체는 1월 말 예정인 입찰공고를 통해 ‘정보보호 전문 서비스 기업’으로 지정된 업체 중에서 선정해 신뢰성 있고 전문적인 사업이 수행되도록 할 예정이다.
한편, 방사청은 지난 3월 20일부터 기술유출 및 침해사고 대응을 위해 방위사업청 누리집에 ‘방위산업기술 유출·침해사고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강은호 방사청장은 “방산업체 사이버 보안 취약점 진단 사업은 우리나라 방산업체의 기술보호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해킹에 의한 기술유출을 사전에 예방해 튼튼한 국가안보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