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북한이 지난 23일 새벽 함경북도 김책시 부근에서 동해상으로 전략순항미사일 ‘화살-2’형 발사훈련을 했다고 주장한데 대해 우리 군 당국이 사실 여부 등을 부석하고 있다.
24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발사한 4기의 전략순항미사일이 “동해에 설정된 2,000km 계선의 거리를 모의한 타원 및 '8'자형 비행 궤도를 1만208s(2시간50분8초)∼1만224s(2시간50분24초)간 비행하여 표적을 명중 타격했다”고 보도했다.
우리 군 당국에 따르면 그러나 북한이 이날 발사했다는 전략순항미사일은 한미 정찰감시 자산에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군 당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발표의 사실 여부를 포함해 여러 가능성을 두고 분석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훈련에는 인민군 동부지구 전략순항미사일부대 해당 화력구분대가 동원됐으며, 기타 구분대들은 실사격 없이 갱도 진지들에서 화력복무훈련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통신은 이어 “발사훈련을 통하여 무기 체계의 신뢰성을 재확인하는 것과 함께 공화국 핵억제력의 중요 구성 부분의 하나인 전략순항미사일부대들의 신속대응 태세를 검열 판정했다”며 “발사훈련은 자기의 목적을 성과적으로 달성했다”고 밝혔다.
통신은 아울러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가 이날 미사일 발사훈련 결과에 대해 “커다란 만족을 표시했다”며 “적대 세력들에 대한 치명적인 핵반격 능력을 백방으로 강화해나가고 있는 공화국 핵전투 무력의 임전태세가 다시 한 번 뚜렷이 과시됐다”고 자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 이같은 발표에 대해 “북이 주장하는 시간에도 다양한 한미 정찰감시 자산들이 해당 지역을 예의주시하고 있었다”며 “북한 주장의 진위를 포함하여 다양한 가능성을 두고 분석 중”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도 북한이 발사했다는 미사일이 자국의 배타적 경제수역(EEZ)과 영역을 비행하지 않았다고 이날 밝혔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현 시점에서 피해 보고 등의 정보는 확인되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순항미사일은 변칙 기동을 하는 특성으로 인해 탐지‧추적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