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니스 쉬미할 우크라이나 총리와 올렉시 레즈니코우 우크라이나 국방장관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주년인 지난 24일(현지시간) 폴란드가 전달해 전장에 처음 투입한 독일산 ‘레오파르트 2’ 앞에 서 있다.(자료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데니스 쉬미할 우크라이나 총리와 올렉시 레즈니코우 우크라이나 국방장관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주년인 지난 24일(현지시간) 폴란드가 전달해 전장에 처음 투입한 독일산 ‘레오파르트 2’ 앞에 서 있다.(자료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국방부가 국제사회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지원 요청에 대해 정부 차원의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라고 밝혀 주목된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27일 정례브리핑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관련 질문에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정부 방침에 변함이 없다”면서도 “다만 무기 지원에 대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필요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살상 무기 지원을 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고수해온 정부가 검토 필요성을 언급하면서도 기존 방침의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전 대변인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물론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 등 국제사회의 거듭된 무기지원 요청에 대한 질문에 “그러한 내용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전 대변인은 그러나 “한국은 우크라이나의 재건을 포함해서 인도적 차원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아직까지는 재건과 인도적 지원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왼쪽 맨 위)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주년인 24일(현지시간)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담에 화상으로 참가하고 있다. G7 정상은 이날 회담에서 러시아의 침공을 규탄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 의지를 밝히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자료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왼쪽 맨 위)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주년인 24일(현지시간)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담에 화상으로 참가하고 있다. G7 정상은 이날 회담에서 러시아의 침공을 규탄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 의지를 밝히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자료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지난 24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도 “한국산 무기가 지원된다면 긍정적일 것”이라며 이와 관련 한국 지도부 초청을 진행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와 관련 “이 훌륭한 나라(한국)에 관해 다른 나라들과 의논 중인 세부사항들이 있다”며 “이를 통해 우크라이나를 지원할 기회를 찾을 수 있길 바란다”고 무기지원을 다시 적극적으로 요청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방한한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을 접견하고 있다.(자료 사진=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방한한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을 접견하고 있다.(자료 사진=대통령실 제공)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도 지난달 말 방한해 윤석열 대통령을 면담한 자리에서 현재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의 상황을 설명하면서 한국의 지속적인 군사적 지원을 요청한 바 있다.

윤 데통령은 이에 대해 우크라이나 국민을 돕기 위해 앞으로도 국제사회와 협력해 가능한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