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조구현 기자] 북한이 3~4월 중 핵전력을 포함한 대규모 훈련과 함께 신형 고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및 정찰 위성을 발사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됐다.
국가정보원은 7일 국회 정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북한이 3월~4월 중 핵전력을 포함한 대규모 훈련을 실시하고 위성발사를 명분으로 신형 고체 ICBM을 시험발사할 소지가 높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또 북한이 4월 중 군사정찰위성 발사 가능성도 예상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 정보위원회 여야 간사인 유상범 국민의힘 의원과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규현 국정원장의 정보위 업무보고 청취 후 이같이 전했다.
국정원은 “북한의 기술적 수요와 김여정의 예고 등을 감안할 때 사거리를 축소한 ICBM의 정상 각도 시험발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했다고 윤 의원은 밝혔다.
시기적으로 오는 13일부터 11일간 대규모 야외기동훈련을 핵심으로 하는 한미 공동 연합연습인 ‘자유의 방패’ 훈련이 예정돼 있고 4월 한미정상회담, 5월 히로시마 G7 회담 등 외교 일정이 이어진다는 점에서 국정원의 예측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한편, 김 국정원장이 보고에서 언급한 ‘김여정의 예고’는 지난 2월 19일과 3월 7일에 있었던 두 번의 담화를 언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 2월 19일 담화에서 “태평양을 북한의 사격장으로 쓸 빈도는 미군에 달렸다”면서 “미군의 전략적 타격수단들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알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른바 ‘태평영 사격장론’이다.
이어진 3월 7일 담화에서는 “태평양은 미국이나 일본의 령유권에 속하지 않는다”면서 “미국의 관할권에 속하지 않는 공해와 공역에서 주변국들의 안전에 전혀 위해가 없이 진행되는 우리의 전략무기시험에 요격과 같은 군사적 대응이 따르는 경우 이는 두말할 것도 없이 조선인민민주공화국에 대한 명백한 선전포고로 간주될 것”이라며 태평양 공해상을 대상으로 한 미사일 시험발사 의지를 거듭 밝혔다.
앞서 북한은 지난해 12월 “2023년 4월까지 군사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낼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이날 국회 업무보고에서 김 국정원장의 4월 중 정찰위성 발사 예측은 지난해 말 북한이 발표했던 군사정찰위성 개발 일정과 맞아떨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