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후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 및 외교안보부처 업무보고회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후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 및 외교안보부처 업무보고회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제공)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1일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오랜 교착상태를 하루속히 끝내고 북미대화와 남북대화에 새 돌파구를 마련해 평화 시계가 다시 움직여 나가도록 최선을 다해 달라”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 및 외교·통일·국방부 업무보고에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는 선택이 아니라 반드시 가야 할 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이 NSC 전체회의를 주재한 것은 북미 간 ‘하노이회담’이 성과없이 끝난 직후인 2019년 3월 이후 22개월 만이다.

문 대통령은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의 온 겨레의 염원”이라며 “미국 바이든 신정부와 함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을 위해 계속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북한과 대화·협력의 길로 되돌아가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조급하게 서두르지 않으며 우리 정부에 주어진 마지막 1년이라는 각오로 한반도 운명의 주인으로서 보다 주도적인 자세로 각 부처가 협력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한 문 대통령은 “굳건한 한미동맹과 함께 주변국과 협력관계를 더 발전시켜 지금의 전환기를 우리의 시간으로 만들어가야 할 때”라며 미국, 중국, 일본 등 주변국과 관계 발전 구상을 내비쳤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튼튼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국제질서와 안보환경에 더욱 능동적이며 주도적으로 대응해 나가면서 한미동맹을 더욱 포괄적이며 호혜적인 책임동맹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에 대해서는 “최대 교역국이자 한반도 평화증진의 주요 파트너”라면서 “내년 수교 30주년을 맞아 한층 발전된 관계로 나아가는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과는 과거에 머무르지 않고 함께 지혜를 모으며 건설적이고 미래지향적 관계로 발전시켜야 한다”며 “특히 올해 도쿄올림픽을 코로나로부터 안전한 대회로 성공적으로 치를 수 있도록 협력하며 한일관계 개선과 동북아평화 진전의 기회로 삼아야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 “러시아와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보다 내실 있게 발전시키고, 아세안 국가들과 협력을 더욱 강화해 큰 외교적 성과인 신남방·신북방 정책의 폭과 깊이를 더욱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강한 국방이 평화의 기반”이라며 국방개혁 2.0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통해 높아진 국격과 군사적 능력에 걸맞게 책임 국방을 실현해 나갈 것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국방개혁 2.0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도록 전력 현대화 사업을 속도감 있게 실행해달라”면서 “인공지능, 로봇, 드론 등 4차 산업 혁명의 신기술을 군에 적극 도입해 새로운 형태의 미래위협에 대비하면서 국내 민간산업 발전과의 선순환도 이뤄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