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7일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서울 아덱스(ADEX) 2023’ 개막식에서 축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서울 아덱스(ADEX) 2023’ 개막식에서 축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방위산업은 안보와 경제를 뒷받침하는 ‘국가전략산업’으로,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전시회(ADEX) 2023’ 개막식에 참석해 “우리 방위산업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며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원조와 수입에 의존했던 나라가 이제는 최첨단 전투기를 만들어 수출하는 수준으로 도약했다”면서 “정부는 방위산업의 ‘첨단 전략산업화’를 국정과제로 제시하고 방위산업의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자 노력해 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우리 정부는 우리 방위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마련해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시켜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이어 “올 상반기에는 대통령 국가안보실에 방산수출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국가안보실이 주도하는 ‘방산수출전략평가회의’를 비롯해 범정부 차원의 방산수출 협력체계를 구축했다”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이제 방산 협력은 단순히 무기의 수출을 넘어 장비와 부품공급, 교육 훈련, 연구개발 분야까지 협력의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며 “우리 방위산업의 성장 경험을 우방국들과 공유하면서 방산 안보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제 뒤로 보이는 무기들이 바로 여러분의 열정과 도전의 산물”이라며 국산 초음속 전투기 KF-21, 최초의 수출 전투기 FA-50 경공격기,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방공체계 중거리 지대공미사일(M-SAM), 장거리 지대공유도무기(L-SAM) 등 한국산 무기를 일일이 거론했다.

윤 대통령은 특히 세계 자주포 시장의 절반을 차지한 K-9 자주포, 세계 최정상급 K-2 흑표 전차, 호주 육군의 차세대 장갑차 우선협상대상이 된 전투형 보병장갑차(IFV) 레드백,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 육군의 공격헬기인 LAH 소형무장헬기, 실시간 정밀타격이 가능한 천무 다연장로켓 등을 언급하며 “우리 방위산업의 미래”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또 “미래 전장 환경에서 승리의 관건은 항공우주기술과 AI(인공지능) 디지털 기술”이라며 “우리 정부는 세계 5대 우주기술 강국 도약을 목표로 뉴스페이스 시대를 이끌어갈 항공우주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신설될 우주항공청을 중심으로 민관이 긴밀히 협력해 항공우주산업의 도약을 이끌어 가겠다”며 “군 작전의 AI 디지털 기반을 가속화하고 미래 항공 모빌리티 기술 개발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서울 아덱스(ADEX)에는 특별히 미군 전력도 함께하고 있다”며 “피로써 자유민주주의를 굳건하게 지켜온 한미동맹의 압도적 역량을 직접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아덱스에는 스텔스 전략폭격기 B-1B 랜서, 세계 최강 스텔스 전투기로 꼽히는 F-22, 첨단 전자전기 EA-18G ‘그라울러’, U-2 정찰기, C-5M 전략수송기, E-3C 조기 경보통제기 등 미국 항공자산도 전시됐다.

이날 성남 서울공항에서 개막한 아덱스는 국내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장비의 수출 기회 확대를 통한 ‘K-방산’의 우수성 홍보, 해외업체와 기술교류를 위한 행사다.

아덱스는 지난 1996년 ‘서울 에어쇼’로 출발해 격년으로 열리며 올해 14회째로 34개국 550개 업체가 참가했다.

키워드

#아덱스 #ADEX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