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수도방위사령부 방역차량.(사진=육군 제공)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방역차량.(사진=육군 제공)

[국방신문=김한규 기자] 군이 주축이 된 ‘코로나19 백신 수송지원본부’(이하 지원본부)가 다음 달 본격 가동된다.

지원본부장을 맡은 박주경 육군참모차장(중장)은 28일 질병관리청 브리핑에서 “백신유통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을 관리하고 유통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기를 관리하고 대응할 뿐만 아니라 백신수송을 위한 군 인력, 수송, 호송, 경계 등 제반 군자산을 협조하고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고 밝혔다.

지원본부는 현역 군 간부 34명, 관계부처 공무원 7명 등 총 41명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57개 부대, 528명으로 구성된 ‘국방신속지원단’을 추가 편성해 지원본부가 요청하면 군 자산을 신속히 투입한다.

초저온에서 보관·유통돼야 하는 백신 운송 자체는 기본적으로 질병청이 계약을 체결한 전문 민간업체에서 하지만, 지원본부는 전반적인 수송 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뤄지는 지 감독하고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도서 지역 백신 수송 시 군 헬기를 긴급 투입하는 것을 비롯해 교통사고 등 우발적인 상황 대응과 방호·경계 상황도 관리한다.

국방부 관계자는 “외국에서는 일부 업체 직원들이 백신을 빼돌리는 사례 등이 있어 이를 방지하고, 병원에 출발·도착 시 온도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등을 현장에서 이중으로 확인할 것”이라며 “우발상황 발생 시 업체 및 질병청과 연계해서 백신에 이상이 없이 응급상황이 복구되도록 조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보관장소 경계 임무와 관련해 “무장에 대해서도 대책을 강구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