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군 군사정찰위성 2호기가 8일(한국시간) 08시 17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스페이스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사진=국방부 제공)
우리 군 군사정찰위성 2호기가 8일(한국시간) 08시 17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스페이스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사진=국방부 제공)

[국방신문=양기반 전문기자] 우리 군이 고성능 영상레이더(SAR)를 탑재해 전천후 주·야간 촬영이 가능한 군사정찰위성 2호기를 8일 성공적으로 발사함으로써 독자적인 정보감시정찰 능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

국방부에 따르면 우리 군의 독자 군사정찰위성 2호기는 이날 오전 8시 17분(현지시간 7일 오후 7시 17분) 미국 플로리다주 소재 케이프커네버럴 공군기지 케네디 스페이스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정찰위성 2호기는 발사 45분 만인 오전 9시 2분께 팰컨9의 2단 추진체에서 분리돼 우주궤도에 정상적으로 진입한 뒤 오전 10시 57분께 해외 지상국과 교신에도 성공했다.

지상국 교신은 팰컨9가 발사된 지 2시간 40분 만이다.

팰컨9 발사 2분 28초 후 1단 추진체 분리와 47초 후 페어링(위성보호덮개) 분리 이후 정찰위성 2호기는 발사 54분 만인 오전 9시 11분께 해외 지상국과 교신을 시도했으나, 교신하지 못했다가 2차 시도에서 성공적으로 교신을 했다.

이날 발사에 성공한 정찰위성 2호기는 수개월 간의 운용시험평가를 거쳐 대북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정찰위성 2호기는 먼저 ▲태양전지판과 안테나 반사판 전개 ▲플랫폼 기능 확인 ▲위성체 운용모드 정상 동작 확인 등의 작업을 약 2주간 진행한다.

정찰위성 2호기는 지난해 발사된 전자광학·적외선(EO·IR) 방식의 1호기와 상호보완적으로 운용된다.

앞서 우리 군의 정찰위성 1호기는 지난해 12월 2일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팰콘9에 탑재돼 성공적으로 발사됐으며, 오는 6∼7월부터 북한 내 주요 표적을 감시하는 임무에 돌입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정찰위성 1호기에 탑재된 전자광학(EO) 및 적외선(IR) 장비는 주·야간 촬영은 가능하나, 기상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반면 이번에 발사된 정찰위성 2호기는 ‘합성개구레이더’라고도 불리는 SAR를 탑재해 날씨와 관계없이 주·야간 촬영이 가능하다.

SAR는 레이다에서 전파를 지상 목표물에 발사해 반사돼 되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한 후 영상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기상에 상관없이 뚜렷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정찰위성 1호기에 탑재된 EO 장비는 가시광선을 활용해 지상의 영상을 직접 촬영하기 때문에 선명한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지만, 날씨에 영향을 받아 구름이 많이 낀 날에는 임무 수행이 제한된다.

또 IR 촬영 장비는 온도 차에 따라 구분되는 적외선 검출 센서를 이용해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야간에도 촬영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찰위성 1호기의 EO·IR 장비도 주·야간 촬영은 가능하나, 기상조건에 영향을 받는 데 비해 정찰위성 2호기의 SAR 위성은 날씨와 무관하게 24시간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우리 군의 SAR 위성은 1대가 하루에 한반도를 4~6회 방문해 영상 정보를 수집한다.

국방부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흐린 날이 70%에 달하기 때문에 EO 장비로 촬영하면 표적을 관측하기 어려운 날이 많다”면서 “그러나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고 촬영할 수 있는 SAR 위성을 이번에 최초로 확보함에 따라 ‘한국형 3축 체계’에 기반이 되는 대북 감시·정찰 능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한국형 3축 체계’는 적 미사일의 발사 징후를 사전에 포착해 발사 전에 제거하는 킬체인에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와 대량응징보복(KMPR)을 더한 개념이다.

이영수 공군참모총장은 이날 발사 현장인 케네디 스페이스센터에서 정찰위성 2호기 발사 의미에 대해 “어떤 기상조건에도 모든 도발을 감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되는 시발점”이라며 “앞으로 초소형 정찰위성과 함께 통합 운용해서 3축 체계, 킬체인의 완전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국방부 다른 관계자는 “EO·IR 위성은 하루에 두 번 한반도를 재방문할 수 있지만, SAR 위성은 하루 4∼6회 정도로 2배 이상 자주 방문해 촬영할 수 있다”면서 “현존하는 SAR 위성 중 최고 성능으로, 민첩한 자세제어 능력을 활용해 조밀한 지역에서 다수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 군 정찰위성 2호기가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 스페이스센터 발사장에 기립 상태로 있는 모습. (사진=국방부 제공)
우리 군 정찰위성 2호기가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 스페이스센터 발사장에 기립 상태로 있는 모습. (사진=국방부 제공)

우리 군은 이른바 ‘425사업’에 따라 2025년까지 SAR 위성 4기와 EO·IR 위성 1기 등 총 5기의 고해상도 중대형(800㎏~1000㎏급) 군사정찰위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정찰위성 1호기는 초기 운용과 영상 검·보정 작업을 거쳐 현재 운용시험평가를 앞두고 있으며 오는 6~7월쯤 공식 임무에 투입될 것으로 알려졌다.

정찰위성 3호기는 위성체 조립이 완료됐고 개발시험평가에 착수한 상태이며, 오는 9월에 관련 평가가 완료되면 11월에 발사될 계획이다. 정찰위성 2호기에 이어 3∼5호기 모두 SAR 위성을 탑재한다.

‘425사업’에 따라 위성 5기가 모두 궤도에 진입해 전력화되면 우리 군은 약 2시간 간격으로 북한 내 주요시설 및 특정 표적 정보를 수집하고 감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될 전망이다.

우리 군은 425 사업으로 확보하는 중대형 정찰위성 5기 말고도 2030년까지 고체연료 우주발사체를 활용한 소형·초소형 정찰위성 50~60기 확보를 계획하고 있다.

우리 군이 소형·초소형 정찰위성을 확보하면 30분 단위로 한반도를 정찰할 수 있게 된다.

무게 800∼1000㎏인 중대형 정찰위성 5기는 미 우주기업 스페이스Ⅹ의 ‘팰컨9’에 탑재돼 발사되나, 무게 500㎏ 미만인 소형 정찰위성과 무게 100㎏ 미만인 초소형 정찰위성은 우리나라가 독자 개발한 고체연료 우주발사체에 탑재돼 발사될 예정이다.

소형·초소형 정찰위성 발사 시기는 소형 정찰위성이 2026∼2028년, 초소형 정찰위성은 2028∼2030년으로 계획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신원식 국방부 장관과 김명수 합참의장 등 군 주요 관계자들은 이날 국방부 청사 내 대회의실에서 취재진과 함께 스페이스Ⅹ가 중계한 정찰위성 2호기 발사 생방송을 시청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