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북도서 일대에서 해상사격훈련이 실시된 26일 인천시 옹진군 대연평도에서 해병대 스파이크 미사일이 화염을 내뿜으며 발사되고 있다. (사진=해병대사령부 제공)

[국방신문=조구현 기자] 북한이 대남 오물풍선 살포 도발을 이어가는 가운데 우리 군이 ‘9·19 남북군사합의’로 중단됐던 서북도서 해상사격훈련을 약 7년 만에 26일 재개했다.

군이 북한의 대남 오물풍선에 대응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한 데 이어 K-9 자주포 등을 동원한 해상사격훈련을 함에 따라 남북 긴장이 고조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해병대사령부에 따르면 서북도서방위사령부(이하 서방사) 예하 해병대 제6여단과 연평부대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약 1시간 동안 각각 백령도와 연평도에서 해상사격훈련을 했다.

K-9 자주포 등을 동원한 해병대의 서북도서 정례 해상사격훈련은 9·19 남북군사합의 체결 11개월 전인 2017년 8월이 마지막이었다. 이번 서북도서 해상사격훈련은 9·19 남북군사합의 효력이 정지됨에 따라 6년 10개월 만에 재개된 것이다.

해병대는 “이날 서방사 예하 해병대 제6여단과 연평부대가 각각 부대별 작전지역에서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6연대와 연평부대는 이날 해상사격훈련 중 K-9 자주포와 K-239 천무 다연장로켓(MLRS), 스파이크 미사일 등 총 290여발을 남서쪽 공해상 가상의 표적을 향해 발사했다.

이번 훈련은 최근 위성항법장치(GPS) 교란, 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도발로 인해 9·19 군사합의 효력이 전부 정지되고 시행되는 첫 서북도서 해상사격훈련이다.

서북도서 해병부대는 2018년 9월 남북이 체결한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 완충구역(적대행위 금지구역) 내 사격이 금지됨에 따라 K-9 자주포 등을 내륙으로 옮겨 사격훈련을 실시해 왔다.

해병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오늘 훈련 이후에도 정례적인 해상사격훈련으로 해병대 화력운용능력 향상과 군사대비태세의 완전성 제고를 추진할 예정”이라며 서북도서 정례 해상사격훈련의 본격 재개를 선언했다.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예하 해병대 제6여단과 연평부대는 26일 부대별 작전지역에서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 사진은 부대별 작전지역에서 K-239 천무 다연장로켓 발사 모습. (사진=해병대사령부 제공)

육군도 6·25전쟁 발발 74주년인 25일 충남 보령 웅천사격장에서 천무 다연장로켓 실사격 훈련을 실시하며 높아진 대북 대응태세를 보였다.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주관으로 실시된 이날 훈련에는 장병 190여명과 천무 7대 및 대포병탐지레이더(TPQ-74K)가 동원되고 해군 함정과 공군 전투기 등 80여대의 합동 전력이 투입돼 군의 통합 대응체계를 점검했다.

다연장로켓 천무는 한반도 유사시 북한의 방사포와 장사정포 위협에 대응해 우리 군이 수행하는 대화력전의 핵심이다. 최대사거리가 80km에 이르며 고폭유도탄과 분산유도탄 발사가 가능하다.

천무의 고폭유도탄은 위성항법시스템(GPS)과 관성항법시스템(INS)을 탑재하고 있어 표적지 탄착 오차가 15m에 불과하다. 분산유도탄은 300개의 자탄을 쏟아내 축구장 3배 면적을 순식간에 초토화할 수 있다.

정부는 지난 4일 국무회의에서 북한의 대남 오물풍선 살포와 GPS 전파 교란 공격, 탄도미사일 발사 등 복합 도발에 대응해 9·19 군사합의 모든 조항의 효력 정지를 결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군 당국은 9·19 남북군사합의로 설정된 육상 및 해상 완충구역 내 연대급 이상 부대 및 함정의 기동훈련과 포사격 훈련을 재개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