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송국진 기자] 우리 군이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도발에 대응해 현무-II 지대지 탄도미사일 실사격 훈련을 서해상에서 실시했다.
군이 한국형 3축 체계 ‘대량응징보복(KMPR)’의 핵심 수단인 현무-II 지대지미사일 실사격 훈련으로 북한의 도발에 맞대응한 것이다.
8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7일 육군 미사일전략사령부 예하 모 부대가 충남 안흥지역 사격장에서 현무-II 1발을 실사격하는 훈련을 했다. 미사일은 200여㎞를 비행해 남쪽의 해상의 가상표적에 명중했다고 군은 밝혔다.
이번 훈련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을 가상하고 현무 지대지미사일로 적 도발 원점을 정밀 타격하는 절차로 진행됐다.
합참 관계자는 “이번 실사격 훈련을 통해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단호히 대응하겠다는 강력한 의지와 적의 도발 원점을 정밀타격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군이 갖추고 있음을 보여줬다”고 강조했다.
이어 “군은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 하에 북한의 다양한 군사 활동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무-II는 적에 대한 우리 군의 핵심 원점 타격 수단으로 북한 전역을 사정권에 둔다. 탄두에 들어 있는 자탄을 흩뿌려 1발로도 축구장 3~4개 면적을 초토화하는 대량 파괴 무기로, 3축 체계의 KMPR을 구현하는 무기 체계다.
사거리에 따라 A·B·C형(약 300㎞~800㎞)으로 나뉘며 군은 작전 보안상의 이유를 들어 세부 제원을 공식 확인하지 않고 있으나, 이날 실사격 훈련은 발사대를 포함해 모든 기자재와 인원, 시설을 파괴할 수 있는 '지역 제압용'인 현무-IIB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공군 미사일방어사령부 예하 2개 부대는 지난 6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에 맞서 지대공 미사일인 천궁-Ⅱ·패트리엇으로 각각 표적을 요격하는 훈련을 진행했다.
북한은 지난달 31일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9형을 발사한 데 이어 지난 5일 초대형 방사포(KN-25)로 추정되는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여러 발을 발사하는 등 최근 연달아 탄도미사일 도발을 감행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