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희옥 독립운동가
하희옥 독립운동가

[국방신문=김한규 기자] 국가보훈처는 조국의 광복을 위해 힘쓴 하희옥 독립운동가 유해가 이장을 통해 3월 3일 오후에 국립대전현충원(독립유공자 제5묘역)에 안장된다고 밝혔다.

하희옥 선생은 그동안 유족이 확인되지 않아 표창 서훈 및 국립묘지 안장이 어려웠으나, 최근 언론보도 및 보훈처의 후손 찾기 등으로 국립묘지로 이장하게 되었다.

선생은 1890년 평안남도 용강 출생으로, 1914년부터 1945년까지 미국 대한인국민회 샌프란시스코, 아크론, 뉴욕, 시카고 지방회에서 활동하면서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한 공적 등으로, 지난 2015년에 대통령 표창을 추서 받았다.

2015년 대통령 표창 추서 당시 유족이 확인되지 않아 표창 전수 및 선생의 묘소도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최근 언론보도 등을 통해 1978년 용인 공원묘지에 하희옥 지사가 안장되었다는 사실이 파악되었고, 이에 보훈처는 국회 정무위원회 유동수 의원(인천 계양구갑)과 함께 선생의 후손을 찾는 일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선생의 공적과 관련된 흥사단, 시키고 한인회 등을 통해 자료 및 증언을 확보하고, 국내 제적등본 조회 등을 거쳐 선생의 후손 확인을 완료했다.

이후, 국내에 거주하는 유족대표(김하주, 외손녀)의 요청으로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장을 결정하게 되었다.

아울러 정부가 보관 중이던 선생의 대통령 표창도 지난 2월 23일(화)에 후손 중 최고 연장자인 김영주(외손녀, 미국 거주)에게 LA총영사관을 통해 전수되었다.

하희옥 선생의 유해는 오는 3일 오전 경기도 용인 공원묘지에서 이장 절차를 통해 국립대전현충원(독립유공자 제5묘역)으로 봉송하며, 오후 3시 30분 유가족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전현충원장 주관으로 안장식을 진행한다.

보훈처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선생에 대한 마지막 예우인 이장 및 안장식 등에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보훈처는 “앞으로도 소재가 확인되지 않은 독립유공자 묘소에 대해 후손 찾기 등을 통해,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분들에 대한 마지막 예우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