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병사 의무복무 후 임기제 부사관으로 임관한 육군 7보병사단 상승독수리여단 GOP대대 부사관들. (사진=부대 제공)
9일 병사 의무복무 후 임기제 부사관으로 임관한 육군 7보병사단 상승독수리여단 GOP대대 부사관들. (사진=부대 제공)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병사로 의무복무를 마친 뒤 전문성을 바탕으로 임기제 부사관으로 임관하는 부사관들이 늘고 있어 주목된다.

22일 국방부에 따르면 병사로 의무복무를 마치고 부사관 신분으로 전환해 6~48개월 임기제 부사관 복무를 신청하는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

육군 7보병사단 상승독수리여단은 최근 예하 GOP대대에서 임기제 부사관 5명이 함께 임관했다. 이들을 포함해 올해 들어 이 대대에서 배출한 임기제 부사관은 총 20명에 이른다고 국방부는 밝혔다.

이계훈(중령) 대대장은 “간부들의 진심 어린 관심과 모범적인 태도가 병사들이 부사관의 길을 선택할 수 있도록 좋은 영향을 주고 있다”며 “앞으로도 임기제 부사관들이 최전방 완전경계작전의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병영문화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육군 35보병사단 이순신여단에서도 임기제 부사관 배출 열기가 뜨겁다. 여단은 올해 전반기에만 13명의 임기제 부사관이 임관했고, 하반기에도 4명이 추가로 임관할 예정이다.

35사단은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지난 4월 육군인사사령부 인력획득 우수부대로 선발되기도 했다. 여단은 건강한 병영문화를 바탕으로 실력과 인성을 겸비한 임기제 부사관 양성에 매진할 방침이다.

임기제 부사관은 병사로 의무복무를 마치고 부사관 신분으로 전환해 6~48개월 복무하는 제도다. 자신의 특기와 전문성을 발휘하고 함께했던 전우들과 생활해 임무 연계성을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일반전초(GOP)를 비롯한 경계부대 근무 병사들은 지형·작전·장비운용에 대한 전문성을 갖고 있어 소속 부대에서 군 생활을 계속하며 축적된 노하우를 그대로 발휘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군은 실전에서 검증된 인원을 간부로 선발·활용하고, 이를 통해 부대의 임무 수행능력을 한층 높이며 더욱 향상된 역량을 갖춘 인원을 키우는 선순환 구조를 이어갈 수 있다.

한편, 장교와 부사관으로 전역한 예비역들이 전문성과 경험을 살려 재임관하는 병력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방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에 이뤄진 25-1기 재임용 선발 결과 총 165명이 지원해 장교 43명, 부사관 50명 등 93명이 재임관자로 뽑혔다.

지난해 상반기 24-1기 재임용 선발에서 78명이 지원해 44명이 선발된 것과 비교하면 1년 새 지원자·선발자 모두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육군은 재임용 제도에 대한 높아진 관심을 바탕으로 올해 재임관자가 300명을 넘어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선발한 233명과 비교해 약 30% 늘어나는 셈이다.

예비역의 현역 재임용 제도는 전역 후 3년이 지나지 않은 예비역 장교(중위 이상) 및 부사관(중사 이상) 중 군으로 복귀를 희망하는 사람을 선발해 다시 현역으로 복무하게 하는 제도다. 육군은 전문성과 경험을 갖춘 우수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2013년 이 제도를 도입했다.

육군은 군에 애정과 열정을 가진 더 많은 예비역 우수자원이 재임관해 능력을 펼칠 수 있도록 재임용 제도 및 법령을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우선 지원 가능 시기를 확대하고 의무복무 기간도 기존 2~3년에서 최소 1년부터 최대 3년까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재임관 부담을 완화할 예정이다. 또 선발 대상을 퇴역자까지 확대해 예비역과 퇴역자 모두 지원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현재는 전역 후 3년 이내 지원해야 하지만, 이를 전역 후 5~6년까지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사회에서 충분한 경험을 쌓은 뒤 재임관 여부를 심사숙고할 여건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홍순민(중령) 육군인사사령부 장교선발계획장교는 “인구절벽과 병 복무 기간 단축 등으로 인해 간부 획득여건이 어려워진 게 사실”이라며 “예비역의 현역 재임용이 또 하나의 인력획득 제도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