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욱 국방부 장관이 한·인도 우호공원 개장식에 앞서 라즈나트 싱 인도 국방부 장관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국방부 제공)
서욱 국방부 장관이 한·인도 우호공원 개장식에 앞서 라즈나트 싱 인도 국방부 장관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국방부 제공)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서욱 국방부 장관은 26일 라즈나트 싱 인도 국방장관과 회담을 하고 양국 간 국방교류 및 방산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국방부가 밝혔다.

또 외교·국방(2+2) 차관회의와 각 군간 정례협의체, 정보교류협의체 등의 개최를 통해 교류협력의 추동력을 유지해가기로 했다.

양국 장관은 이날 인도 뉴델리에서 가진 양자회담에서 우주, 사이버안보, 해양안보, 국제평화유지활동(PKO), 군수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협력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관련 협력 분야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두 장관은 회담에서 코로나19 여파로 지연된 국방교류 협력을 다시 활성화하기로 하고, 그 일환으로 외교·국방(2+2) 차관회의를 비롯해 각 군간 정례협의체, 정보교류협의체 등 개최를 추진하기로 했다.

두 장관은 지난해 합의한 ‘한·인도 방산협력 로드맵’을 통해 양국 간 상호 호혜적인 방산협력의 기틀이 마련됐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또 양국 간 방산협력 강화는 공동 연구개발·생산·마케팅까지 포괄하는 것은 물론, 인도 정부가 추구하는 인도 현지생산(Make in India) 정책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서 장관은 이날 한국 업체가 참여 중인 비호복합 체계 및 소해함 등 수출사업에 대해 인도 측의 각별한 관심을 당부했다.

서 장관은 또 최근 한반도 정세와 한국 정부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설명했으며, 싱 장관은 한반도의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한국 정부의 정책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국방부는 보도자료에서 “두 장관은 인도·태평양 지역이 개방성, 투명성, 포용성의 원칙 하에 규칙에 기반한 국제질서가 구축되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고 밝혔다.

인도·태평양 지역은 미국이 중국 견제를 본격화하며 전략적 요충지로 꼽히는 곳이다. 인도는 미국·일본·호주와 함께 중국 견제 협의체로 평가받는 쿼드(Quad)에 참여하고 있다.

특히 서 장관은 PKO 협력과 관련해 올해 12월 한국에서 개최되는 유엔 PKO 장관회의에 싱 장관을 초청하면서 “인도가 보유한 풍부한 PKO 관련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해줄 것”을 당부했다.

싱 장관은 “인도 정부가 이번 유엔 PKO 장관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답했다.

서 장관은 회담에 앞서 현지에서 열린 ‘한·인도 우호공원’ 개장식에 참석해 6‧25 전쟁에 참전한 인도군의 헌신과 희생을 추모하고 양국의 우정과 연대 그리고 평화의 메시지를 전했다.

우호공원은 2019년 양국 정상 간 합의로 건립됐으며, 공원 내에 6·25 전쟁 당시 최대 규모 의료지원부대를 파견했던 인도군의 희생과 헌신을 기리기 위한 참전기념비도 자리하고 있다.

서 장관은 27일 6·25전쟁 당시 한국에 파견되었던 인도군 제60공정야전병원을 방문해 감사 인사를 전한 뒤 28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