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정부가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발생한 해군 청해부대 34진 장병 전원을 조기 귀국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16일 청해부대 34진 부대장 김동래 대령은 지난 15일 국내에 있는 청해부대원 가족들에게 보낸 공지문에서 “다수의 확진자 발생까지 고려해 현 부대장을 포함한 청해부대 34진 부대원 총원을 공군 수송기 편으로 국내 복귀시켜 부대원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진행할 계획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복귀 시기에 대해 “시행 시기는 최대한 빠른 시일 내로 준비 중”이라며 “잠정적으로 다음 주 중, 7월 19일부터 25일 사이에 복귀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정부가 이렇게 발빠른 대응에 나선 것은 청해부대원 34진 300여 명 모두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데다 ‘밀집’ ‘밀폐’ ‘밀접’ 등 이른바 3밀 환경으로 코로나19 집단감염에 쉽게 노출될 수 밖에 없는 함정의 특성의 고려할 때 급격한 대규모 확진자 발생을 우려한 때문으로 보인다.
청해부대원 귀국에 투입될 항공기는 다목적 공중급유수송기인 ‘KC-330’ 2대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KC-330기는 국외 재해·재난 때 국민 수송, 해외 파병부대 화물·병력 수송, 국제 평화유지 활동 지원 등의 임무 수행을 위해 공군에서 2019년 1호기를 도입한 이래 현재 4대를 운용 중이다.
정부는 47t의 화물 적재와 함께 최대 300여 명의 인원이 탑승할 수 있는 KC-330기를 지난해 7월 이라크 파견 근로자 290여 명의 특별수송에 2대를 투입한 바 있다.
정부는 또 문무대왕함의 한국 귀환에 필요한 필수 운항 인력을 구성해 현지에 파견하는 수송기 편에 보내는 계획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청해부대원이 승선한 문무대왕함이 항해 중인 아덴만 인접국의 현지 공관을 통해
수송기 운항을 위해 필요한 절차를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