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첫날인 1일 강원도 동부전선 22사단 지역 철책을 넘어간 월북자는 1년여 전에 같은 지역을 통해 귀순했던 탈북민 김모씨로 파악됐다. 장병들이 철책근무를 하는 모습. (사진=국방부 제공)
새해 첫날인 1일 강원도 동부전선 22사단 지역 철책을 넘어간 월북자는 1년여 전에 같은 지역을 통해 귀순했던 탈북민 김모씨로 파악됐다. 장병들이 철책근무를 하는 모습. (사진=국방부 제공)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새해 첫날 강원도 동부전선 22사단 지역 철책을 넘어간 월북자는 1년여 전에 같은 지역을 통해 귀순했던 탈북민 김모씨로 파악됐다.

3일 군과 경찰 등에 따르면 군은 지난 1일 발생한 육군 제22보병사단 GOP(일반전초) 철책을 넘은 월북자가 2020년 11월 같은 부대로 월책해 귀순한 김씨로 보고 관계기관과 합동 조사 중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민간인통제선 일대의 CCTV(폐쇄회로TV)를 확인해 인상착의를 식별한 끝에 2020년 11월 탈북 귀순한 인물과 동일인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북한에서 기계체조 경력이 있는 김씨가 지난 2020년 11월 이른바 ‘점프 귀순’을 한 뒤 다시 같은 경로로 월북하는 등 최전선 경계망을 뚫고 남과 북을 제집 드나들듯 오간 셈이다.

군의 허술한 경계 태세에 이어 정부와 경찰, 정보당국 역시 탈북민 보호·관리에 허점을 드러냈다는 비판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30대 초반인 김씨는 2020년 11월 초 이번에 월북한 곳인 22사단 철책을 넘어 귀순했다.

김씨는 귀순 이후 정보당국 조사에서 ‘기계체조’ 경력이 있다고 진술했으며, 당시 당국은 그의 진술을 검증하기 위해 우리 측 요원을 동원해 두 차례 시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체중 50여kg에 신장이 작은 편으로, 왜소한 체구여서 높이 3m가량인 철책을 비교적 수월하게 넘을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됐다.

군 당국은 탈북했다가 월북한 김씨의 직업 등 신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지만, 그는 한국에서 청소용역원으로 일하며 경제적으로 풍족하지 않은 생활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는 지난해 12월 29일까지는 정상적으로 연락이 닿았지만 30일부터는 연락이 두절됐던 것으로 전해졌다.

군과 관계당국은 재입북한 김씨에 대한 대공 용의점이 현재까지는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해당 인물은 (정부의) 탈북민 관리 규정에 따라 관리가 됐고 (한국에서) 정보 접근이 자유롭지 않은 직업에 종사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씨는 지난해부터 중국과 러시아로의 해외여행을 알아본 것으로도 알려졌다.

이에 따라 귀순한 지 1년이 조금 넘은 탈북민이 코로나19 사태로 해외여행의 제약이 큰 상황에서 북한의 접경국인 중국·러시아 여행을 타진했는데도 당국이 이상징후를 감지하지 못한 것은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군과 정보당국은 월북자 신변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군 당국은 월북자가 비무장지대(DMZ)에 들어갔을 때 북한군 3명이 월북자와 접촉해 그를 북쪽으로 데려간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월북) 상황 발생 시 북쪽 지역에서 4명으로 확인되는 화면이 식별되어서 합참 전비태세검열실이 세부 내용을 확인 중에 있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지난 2일 오전과 오후에 각각 한 차례씩 군 통신선을 통해 김씨의 신변 안전과 관련해 대북 통지문을 보냈다. 이에 대해 북측은 통지문을 정상적으로 접수했다고 밝힌 뒤 회신하지는 않았다고 국방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현재 합참은 김씨가 월북한 곳의 관할 부대인 22사단에서 당시 경계태세와 지휘보고 체계, 과학화 경계감시장비 정상 작동 여부 등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합참 전비태세검열실은 이르면 4일 조사를 마치고 조만간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