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한상현 전문기자]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등 모라토리엄 파기 움직임이 가시화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모든 가능성에 철저 대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차덕철 통일부 부대변인은 11일 정례브리핑에서 “미국 등 국제사회와 함께 김(정은) 위원장의 서해위성발사장 방문 등 관련 동향을 면밀하게 주시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김정은 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이 서해위성발사장을 방문해 ‘다목적 위성들을 다양한 운반 로켓으로 발사’, ‘대형 운반 로켓 발사’ 등을 언급하며 “위성발사장개건 현대화 목표를 제시하고 그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과 방도 등을 현지 지도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차 부대변인은 “정부는 최근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시험 발사를 강력히 규탄하고, 한반도와 역내의 안보 불안을 조성하고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해 왔다”며 “북한은 더 이상의 긴장 고조 행위를 중단하고 대화 재개를 위한 한미 노력에 호응하라”고 강조했다.
차 부대변인은 또 남북 통신연락선과 관련 “남북은 지난해 10월 통신선 복원 후 오늘 현재까지 오전 9시, 오후 5시에 통신연락 업무 시작과 종료를 확인하는 통화를 정상적으로 실시해 오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미 군 당국은 북한이 지난 2월27일, 3월5일 ‘정찰위성’이라고 주장한 발사체에 대해 “신형 ICBM 체계와 관련된 것”이라며, 우주발사체를 가장한 미사일 최대 사거리 시험을 앞둔 성능 점검 의도가 담겼다고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