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측이 21일 아들의 병역 판정 의혹과 관련 재검을 받은 결과 2015년과 마찬가지로 4급 판정에 해당하는 진단을 받았다고 밝혔다.
정 후보자 인사청문준비단은 이날 오후 배포한 관련 보도자료에서 정 후보자 아들에 대해 지난 20일부터 이틀간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재검한 결과 ‘신경근을 압박하는 추간판 탈출증 의심’ 진단이 나왔다며 이는 병적기록표에 기재된 2015년 4급 판정 사유와 동일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준비단에 따르면 정 후보자의 아들은 20일 늦은 오후 자기공명영상(MRI)을 촬영하고, 21일에는 신경외과 외래 진료 방식으로 재검사를 받았다.
그는 또 2015년에 받은 MRI 영상기록과 진료 내역을 함께 가지고 가서 2015년 당시 상태에 대해서도 진단을 요청했다고 준비단은 덧붙였다.
이에 따라 영상의학과 교수의 판독과 신경외과 교수의 진료를 받고 이같은 내용의 진단서를 발급받았다는 것이다.
정 후보자의 아들이 2015년 받은 진단 결과에 따르면 당시 제5 요추-천추 간 좌측으로 제1천추 신경근을 압박하는 퇴행성 추간판 탈출증 소견이 확인됐다.
이번 진단서에도 제5 요추-천추간 좌측으로 퇴행성 추간판 탈출증 및 좌측 제1 천추 신경근 압박 소견이 나와 2015년과 동일한 결과라고 준비단은 강조했다.
전날 촬영한 MRI 영상에서 좌측 제1 천추 신경을 압박하는 제5 요추-제1 천추의 추간판 돌출, 이로 인한 중앙 척추관 협착증 소견이 나왔다는 주장이다.
이는 2015년 MRI와 비교해 조금 더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는 것이 준비단의 설명이다.
준비단은 병역 판정 신체검사 등 검사 규칙의 2015년도 기준에 따른 4급 판정이 맞다고 거듭 주장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대변인은 이날 준비단 사무실이 있는 서울 서대문구 국민연금공단 빌딩 로비에서 재검 결과를 발표하면서 “추가 의혹을 제기할 수 있는 부분이 없지 않을까 판단한다”고 자신했다.
준비단은 또 국회에서 추천하는 의료인에게 2015년도와 이번에 촬영한 MRI 등 진료 기록도 제공하겠다고 덧붙였다.
정 후보자는 이에 앞서 이날 아침 출근길에 아들의 병역 판정 의혹과 관련 “어떠한 특혜나 도덕적으로 부당한 행위 없이, 공정하고 엄격한 절차에 의해 병역 판정을 받았다”고 거듭 주장했다.
정 후보자는 “재검증에도 불구하고 국회에서 2015년 MRI 자료 공개를 요청한다면, 국회에서 추천하는 전문성 있는 의료인들에게 (진단 자료를) 공개하겠다”며 “이런 결과를 충분히 검증한 만큼 근거 없는 의혹을 중단해 달라”는 요청도 했다.
정 후보 아들은 경북대 의대에 재학 중이던 지난 2010년 첫 신체검사에서 현역 판정을 받았으나, 5년 뒤 재검 과정에서 ‘4급 보충역’ 소집 대상으로 병역 판정이 바뀌어 22개월 사회복무요원으로 병역을 마쳤다.
정 후보자는 이를 비롯해 자신을 둘러싼 여러 가지 논란과 관련 사퇴 의사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도덕적, 윤리적 잣대에서 한 점 부끄러움이 없다고 말씀드렸다”며 “그 말로 답변을 대신하겠다”고 말해 사퇴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