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6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상공인·자영업자의 보상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 제출에 따른 첫 연설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상공인·자영업자의 보상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 제출에 따른 첫 연설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강조했던 경제 안보 협력을 주요 국가로 확대하겠다며 미국이 주도하는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참여 의지를 16일 시사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국회에서 취임 후 첫 추가경정예산안 제출 국회 시정연설에서 “탈냉전 이후 지난 30여 년간 지속되어 오던 국제 정치·경제 질서가 급변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정치, 경제, 군사적 주도권을 놓고 벌어지는 지정학적 갈등은 산업과 자원의 무기화와 공급망의 블록화라는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 내고 있다”며 “이러한 글로벌 정치경제의 변화는 그동안 세계화 속에 수출을 통해 성장해 오던 우리 경제에 큰 도전”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오는 21일 서울에서 열릴 예정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에서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를 통한 글로벌 공급망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와 관련 “국제 규범 형성을 주도하기 위해서”라며 “공급망 안정화 방안뿐 아니라 디지털 경제와 탄소 중립 등 다양한 경제 안보에 관련된 사안이 포함될 것”이라고 언급해 IPEF에 참여 의지를 내비쳤다.

IPEF는 미국이 세계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을 상대로 경제 분야에서도 포위하려는 의도로 추진하는 인도·태평양 국가 협의체다.

바이든 미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27일 온라인으로 열린 동아시아 정상회의에서 IPEF를 만들겠다고 선언했으며, 올해 2월 11일 공개한 인도·태평양 전략서에서 IPEF 추진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우리의 안보현실은 더욱 엄중해지고 있다”며 “북한이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는 정황도 파악되고 있다”고 취임 후 처음으로 북한의 핵실험을 공식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은 날이 갈수록 핵무기 체계를 고도화하면서 핵무기 투발 수단인 미사일 시험발사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며 “취임한 지 이틀 뒤인 지난 5월 12일에도 북한은 미사일 세 발을 발사했다”는 사실을 상기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형식적 평화가 아니라 북한의 비핵화 프로세스와 남북 간 신뢰 구축이 선순환하는 지속 가능한 평화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