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제츠(楊潔篪) 중국 외교 담당 정치국원(왼쪽)과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자료 사진=연합뉴스)
양제츠(楊潔篪) 중국 외교 담당 정치국원(왼쪽)과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자료 사진=연합뉴스)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중국이 미국 주도로 출범 선언을 앞두고 있는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에 대해 견제 목소리를 날로 높이고 있다.

중국 공산당 기관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環球時報) 영문판 ‘글로벌타임스’는 20일 논평 기사에서 “IPEF의 진정한 목표는 중국을 고립시키려는 것”이라며, “글로벌 무역사상 지정학적 분할에 초점 맞춰진 협력 틀이 성공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고 비판했다.

이 신문은 그 근거로 지나 레이몬도 미 상무부 장관이 IPEF의 취지 중 하나로 중국에 대한 민감 품목의 수출 통제를 거론한 적이 있고, 람 이매뉴얼 주일 미국대사는 일본 언론 인터뷰에서 중국이 IPEF에 초청받지 않을 것임을 밝혔다는 사례를 들었다.

이 신문은 “이런 발언들이 IPEF의 취지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제적 번영 도모가 아니라 지역 국가들을 결속해 중국과 디커플링(decoupling·탈동조화)하려는 것임을 분명히 드러냈다”고 주장했다.

이 신문은 이어 “중국의 대아세안 투자가 급증하면서 중국은 거의 모든 아세안 회원국의 최대 교역국이 됐다”며 “중국은 한국의 대외 무역에서 거의 25%를 차지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지역 산업망에서 중국의 역할을 감안할 때 미국이 일부 국가를 IPEF에 참여시킨다 해도 실질적 경제가치가 없는 공중누각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또 다른 기사에서 관측통들의 견해라며 “IPEF는 지역 경제의 촉진자라기보다는 미국이 인도·태평양 전략을 촉진하기 위한 곡예에 가깝다”며 “지역에 분열과 혼란만을 가져올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바이든 대통령이 오는 22∼24일 일본 방문 때 출범을 선언할 것으로 알려진 IPEF는 디지털·공급망·청정에너지 등에 걸쳐 공동 대응을 위한 인도·태평양 지역의 포괄적 경제 협력체를 표방하고 있다.

이 신문은 지난 19일자 논평에서도 “IPEF는 세계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시도”라고 비난했다.

이와 관련 “한국 반도체 업계의 현 상황은 미·중간 경쟁구도에서 ‘편들기’를 피하고 미묘한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며 “한국이 미국과 일본의 위협에 굴복한다면 반도체 공급망에 장기적으로 불이익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세계 최대 반도체 시장인 중국이 반도체 공급망의 주요 업체들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며 “공급망 개발 측면에서 한국은 중국과 협력을 통해야만 미국과 협상에서 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양제츠(楊潔篪) 중국 공산당 외교 담당 정치국원이 지난 18일 IPEF 출범을 주도하는 미국을 향해 “사리사욕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의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이익을 해치는 어떠한 행위도 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중국 관영 신화사가 전했다.

양 정치국원은 이날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전화통화에서 “파벌을 끌어들여 분열과 대항을 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실현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에 앞서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지난 16일 박진 외교부 장관과 화상통화에서 “(한국의) ‘디커플링'에 반대한다”며 “신냉전의 위험을 방지하고 진영 대치에 반대하는 것은 양국 근본이익과 관련된 것”이라고 직설적으로 말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