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오동준 기자] 육군이 아미타이거(Army TIGER) 시범부대를 출범시키고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전투시연’을 선보였다.
육군은 10일 경기도 양주 25사단에서 ‘아미타이거 시범여단 전투단 선포식’과 ‘신규 무기체계 명명식’을 개최했다.
아미타이거는 워리어플랫폼을 착용한 전투원이 드론봇(드론+로봇)과 함께 전장을 누비며 높은 생존력·전투력을 발휘하는 지상군 부대다.
부대 운용 방향의 핵심은 차륜형장갑차와 소형전술차량 등 기동플랫폼으로 전 제대가 빠르게 전장을 누비는 ‘기동화’다.
또 전투원과 드론봇 전투체계, 워리어플랫폼 등 모든 전투체계가 초연결되는 ‘네트워크화’와 함께 인공지능(AI) 기반 초지능 의사결정 체계가 상황판단·결심을 지원하는 ‘지능화’가 특징이다.
박정환 육군참모총장은 이날 ‘아미타이거'(Army TIGER) 시범여단 전투단 선포식’에 참석해 “2025년엔 육군이 '워리어플랫폼'을 착용하고 인공지능(AI) 드론봇 전우와 함께 전투현장에서 반드시 승리하는 첨단 육군으로 변모할 것”이라며 “최첨단 전력과 연계하여 부대구조와 작전수행 개념도 발전시켜 다(多)영역 동시통합작전으로 미래전에서 승리하는 육군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전투단 선포식을 통해 25사단 시범여단은 아미타이거로 최적화된 부대구조와 전력체계, 전투방법 검증에 필요한 여단급 실험을 진행하는 임무에 들어간다.
1개 보병여단 전체를 아미타이거 시범부대로 지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육군은 이를 시작으로 육군 여단급 부대들의 구조·전력체계 등을 단계적으로 혁신하고, 2040년까지 모든 전투여단을 아미타이거 부대로 바꿀 계획을 추진 중이다.
이날 선포식 후에는 정찰·소총·폭탄투하 드론, 소형정찰로봇, 다목적무인차량 등 16종 50여대의 전력이 투입된 전투시연이 이어졌다.
전투시연에서 아미타이거 여단 선두중대가 유·무인 복합 전투수행을 통해 적 공격 방어, 공세 전환, 적 격멸을 하는 모습을 순서대로 선보였다.
육군에 따르면 이날 시연은 2025년 이후 육군이 싸우는 모습을 구현한 것이다.
육군은 “아미타이거의 우수성을 대내외에 선보여 제2창군 수준의 국방혁신 4.0을 선도하고, 아미타이거 구축에 필요한 각종 첨단전력을 조기 전력화하는 데 필요한 추동력을 얻고자 시연을 기획했다”고 밝혔다.
이어 진행된 신규 무기체계 명명식에선 아미타이거 대대와 여단전투단이 운용하는 7종류의 무기체계에 대한 이름(애칭)이 정해졌다.
이날 애칭을 받은 신규 무기체계는 소형전술차량(현마), 105mm 자주곡사포(풍익), 30mm차륜형대공포(천호), 차륜형장갑차(백호), 대포병탐지레이더-II(천경-II), 120mm자주박격포(비격), 장애물개척전차(코뿔소) 등 7종이다.
아울러 육군은 첨단전력 49종 77대를 전시하고 차륜형장갑차와 소형전술차량 탑승 체험, 워리어플랫폼 착용, 모의 사격 체험 등 참석자들에게 다양한 볼거리도 제공했다.
이날 행사에는 박정환 육군참모총장과 육군 주요 직위자를 비롯 미국·영국 등 15개국 주한무관단, 국회·국방부·합참·방사청·국방과학연구소·방산업체·해군·공군·해병대 전력 관계관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