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오동준 기자] 방위사업청과 산업통상자원부가 방위산업의 국내외적 호기를 맞아 방산·원전의 동반수출을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방사청은 2일 서울 회의실에서 엄동환 방사청장과 장영진 산업부 1차관이 부처 간 협업을 통한 방위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고위급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 양측은 방산과 원전의 동반수출을 위한 협력사항을 논의하며, 양 부처의 공동협력 필요성에 공감했다.
이어 방산수출에 수반하는 구매국의 포괄적 산업협력 요구에 대한 종합적·전략적 공동대응방안을 모색했다.
방사청에 따르면 최근 러시아-우크라 전쟁으로 인한 동유럽지역의 안보위협 증가, 미중 패권경쟁에 따른 인도태평양지역 군비 확충, 중동지역의 지정학적 갈등 등으로 첨단 무기체계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는 추세다.
이에 한국은 최첨단 무기체계 독자개발 능력을 갖춘 몇 안 되는 국가로서 세계적 관심을 받으며 해외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또 윤석열 정부는 방위산업을 국가첨단전략산업으로 국정과제에 반영해 ‘첨단전력 건설과 방산수출의 선순환 구조 정착’을 추진 중이다.
이러한 국내외적 상황을 고려할 때 한국의 방위산업은 제2의 도약을 위한 추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양측은 이날 누리호 발사 성공과 더불어 한국의 7대 우주강국 도약을 위한 민·군 우주 기술협력과 산업생태계 구축 필요성에도 의견을 모았다.
이를 위해 민·군이 함께 하는 우주산업 육성, 우주분야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발전 등에 관한 협력 내실화, 양 부처가 운영 중인 민군 우주기술개발협의회의 효율적 운용을 약속했다.
아울러 양측은 방위산업발전 기본계획과 민군기술협력사업 기본계획을 연내 마련해 방위산업이 국가첨단전략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조하기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