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언급한 북한 비핵화에 대한 ‘담대한 구상’과 관련 목표와 원칙 등 큰 틀에서 미국과 사전에 협의가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16일 정례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의 ‘담대한 구상’에 대한 미국 등 주변국과 논의했느냐는 질문에 “모든 과정에서 미국과 긴밀히 조율한다”며 “미국과는 담대한 구상의 목표, 원칙 그리고 큰 방향에 대해 협의를 마쳤다”고 말했다.
최 대변인은 아울러 “중국, 일본 등 주요국과도 사전 소통을 실시해 온 바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미국 측은 북한에 대해 진지하고 지속적인 대화의 길을 열겠다는 우리의 목표를 강력하게 지지한다고 했다”며 “양국 간 공동 인식에 따라서 향후 미국과 관련 조율을 해나가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이 부분적 대북 제재 완화에 대해서도 “반응이 다르지 않다”고 그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와 관련, 한덕수 국무총리도 이날 “미국 등 관련국과도 협의해 온 것”이라며 “북한이 핵문제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한다고 하면 이제는 제3자가 아니라 직접적으로 대화를 제의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한 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에서 기자단과 만나 ‘정부 출범 초기 적대적인 태세에서 대화를 추진하는 쪽으로 전환한 것이냐’는 질문에는 “정부는 대화의 채널을 항상 열겠다는 방침이었다”며 “다만 확실한 국방력, 장악력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었다”고 선을 그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광복절 경축식를 통해 “북한의 비핵화는 한반도와 동북아, 그리고 전 세계의 지속 가능한 평화에 필수적인 것”이라며 “북한이 핵 개발을 중단하고 실질적인 비핵화로 전환한다면 그 단계에 맞춰 북한의 경제와 민생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담대한 구상을 지금 이 자리에서 제안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담대한 구상’으로 ‘북한에 대한 대규모 식량 공급 프로그램’, ‘발전과 송배전 인프라 지원’, ‘국제 교역을 위한 항만과 공항의 현대화 프로젝트’, ‘농업 생산성 제고를 위한 기술 지원 프로그램’, ‘병원과 의료 인프라의 현대화 지원’, ‘국제투자 및 금융 지원 프로그램’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이와 관련 “북한이 진정성을 가지고 비핵화 협상에 나올 경우 초기 협상 과정에서부터 경제지원 조치를 적극 강구한다는 점에서 과감한 제안”이라고 ‘초기 협상 과정’을 언급해 주목을 끌었다.
